-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Teaching Practice Experiences of Chinese Vocational Teachers d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Period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손명양(Mingyang Sun) 김경이(Kyungyee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149~18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기에 중국 직업교육 학교에 재직중인 교사의 수업 내 경험과 정체성이 어떻게 재구성되고 의미화되어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년 이상의 실무 경험을 가진 직업교육학교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4년 6월부터 9월까지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심층 인터뷰, 현장 관찰, 개인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교사는 디지털 환경의 급변하는 변화 속에서 심리적 혼란과 좌절을 겪었지만, 반복적인 실험과 학생 및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자신의 교육 전략을 수립하고, 교사로서의 정체성과 교육 의미를 재검토하게 되었다. 또한, 비대면 수업에서 학생과의 단절, 권위 약화 등의 정체성 위기를 겪었지만, 이에 대한 대응으로 교사들은 학생 개인의 학습 맥락을 더욱 세심하게 이해하고 동료 교사들과의 집단 반성을 통해 교육적 관심과 전문적 성장을 위한 협력 기반을 형성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디지털 전환 시기 교사들의 경험은 단순한 기술 수용의 문제가 아니라 내적 성찰과 공동 실천을 통해 교육적 의미와 정체성, 전문성을 재구축하는 역동적인 과정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lassroom experiences and professional identities of in-service teachers in Chinese vocational education are reconstructed and reinterpreted d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period. Two vocational school teachers, each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rom June to September 2024, narrative inquiry methods were employed,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field observations, and the collection of personal documents. The findings reveal that teachers faced psychological confusion and instructional challenges amidst rapid digital changes. Nevertheless, through continuous pedagogical experimentation and interactions with students and colleagues, they gradually developed their own teaching strategies and revisited their identities and meanings as educators. Additionally, teachers experienced identity crises in online teaching environments, such as a sense of disconnection from students and diminished authority. In response, they paid closer attention to the individual learning contexts of students and fostered a collaborative foundation for educational engagement an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collective reflection with their pee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riences of teachers d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period involve not only the adoption of technology, but also a dynamic process of reconstructing educational mean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expertise through internal reflection and collaborative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중국 직업교사의 디지털 전환기 수업 경험 이야기
Ⅴ. 내러티브 마치며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십우도에 나타난 융의 자기실현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비교
- Interpersonal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ers: The Rol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전환기 중국 직업교사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임력을 보존하는 타임캡슐에서 희망고문까지 - 사회적 난자 냉동의 개념적 은유와 재생산 담론의 구성
- Z세대 청년의 커리어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의 의미-통사적 특성: 사역성을 중심으로
- 알코올 중독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장기 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규제혁신의 정치경제: 문재인 정부 시기 규제샌드박스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