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on their major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immersion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경화(Kyunghwa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183~2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와 전공몰입의 전공만족도간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들의 향후 전공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경기 지역 소재의 4년제 대학 3개의 학교 재학 중인 대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이며 사회적 지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전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전공몰입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공몰입도 전공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 그리고 전공몰입이 사회적 지지와 전공만족도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전공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높여 궁극적으로 대학생들의 전공몰입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major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immersion in order to explore strategies for enhanc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 survey was conducted on 246 students enrolled in three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Using SPSS 26.0,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immersion. Furthermore, SPSS PROCESS Macro Ver. 4.2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jor immersion, and that major immersion also positively influenced major satisfaction. Additionally, major immers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nhancing social support can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immersion to their major, ultimately leading to greater major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십우도에 나타난 융의 자기실현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비교
- Interpersonal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ers: The Rol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전환기 중국 직업교사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임력을 보존하는 타임캡슐에서 희망고문까지 - 사회적 난자 냉동의 개념적 은유와 재생산 담론의 구성
- Z세대 청년의 커리어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의 의미-통사적 특성: 사역성을 중심으로
- 알코올 중독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장기 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규제혁신의 정치경제: 문재인 정부 시기 규제샌드박스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