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the Career Identities of Gen. Z Youth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혜원(Hye Won Lee) 전주성(JuSung Ju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233~2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Z세대 청년들이 시간과 공간,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의 다양한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커리어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왔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커리어 정체성의 유형, 형성 배경, 주요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퍼즐을 설정하였으며,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Z세대 청년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료는 2023년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수집되었으며, 2차에 걸친 면담과 추가 확인 절차를 통해 연구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Z세대 청년들은 자신의 커리어를 능동적으로 성장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들의 커리어 정체성은 단순한 목표 지향적 사고를 넘어 구조화된 자기 이해 과정 속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이들은 선호하는 분야에 대한 열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그 선택을 포기하거나 유보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커리어 정체성 형성에는 개인적 주도성뿐만 아니라 가족, 또래, 교수, 상사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Z세대 청년들의 커리어 정체성은 일반적인 발달 양상, Z세대라는 세대적 특수성, 그리고 개인이 지닌 고유한 삶의 서사라는 세 가지 층위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eply explore how Generation Z youth have formed their career identiti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social interactions in temporal, spati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To this end, the research puzzle was set up focusing on the types of career identities, their formation backgrounds, and major influencing factor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Generation Z youth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for four months from June to September 2023, and the research text was written through two interviews and additional verification proced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eration Z youths had a will to actively grow their careers, and their career identities were formed through a structured self-understanding process beyond simple goal-oriented thinking. In addition, they had experiences of giving up or postponing their choices due to realistic constraints despite their aspirations for their preferred fields. In addition to personal initiative, interactions with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such as family, peers, professors, and superio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career identities. In conclusion,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career identity of Generation Z youth is composed of three layers: general developmental patterns,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and individual life narr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으로 들어가기
Ⅲ. 연구방법론
Ⅳ. Z 세대 청년의 커리어 정체성
V. Z 세대 청년의 커리어 정체성 형성 배경
Ⅵ. Z 세대 청년의 커리어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준 주요 요인
Ⅶ. 논의 및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십우도에 나타난 융의 자기실현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비교
- Interpersonal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ers: The Rol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전환기 중국 직업교사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임력을 보존하는 타임캡슐에서 희망고문까지 - 사회적 난자 냉동의 개념적 은유와 재생산 담론의 구성
- Z세대 청년의 커리어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의 의미-통사적 특성: 사역성을 중심으로
- 알코올 중독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장기 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규제혁신의 정치경제: 문재인 정부 시기 규제샌드박스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