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의 의미-통사적 특성: 사역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emantic and Syntactic Properties of the Russian Verb delat': Focusing on Causativity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황서경(Seokyoung Hwa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261~27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의미-통사적 특성을 밝히고 이 동사를 사역동사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러시아어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사역문을 만들 때 делать 동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 동사는 대역어인 영어 make, 한국어의 ‘하다/만들다'와는 용법이 구별된다. 이러한 교육 현장에서의 질문에서 출발하여, 러시아어 делать 동사가 어떤 의미적, 통사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교육적, 학술적 측면에서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 делать 동사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으며, 사역동사의 분류 중 일부로 기술되거나 다루어지지 않기도 한다. 동사 자체의 의미, 통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다루고, 그 중에서도 사역성과 연관되는 특성을 살펴본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이가 있다. 동사의 용례를 통해 어휘의미적 특성과 통사적 결합성을 기술하고, 의미-통사적 특성을 구조적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통사적 특성이 사역성과 연결됨을 보인다. 연구 결과, делать 동사가 산출과 상태변화유발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делать 역시 일반적인 사역구문인 '사역 상황의 주체+사역 술어+피사역 상황의 주체+피사역 상황(사역의 결과)'으로 이루어지는 2주체, 2명제 구조로 사용된다. делать 동사는 피사역상황에 해당하는 단어의 품사나 격 실현에서는 다른 사역구문과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делать 동사의 이러한 사역의미적 해석 가능성은 이 동사의 의미-통사적 특성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ussian verb delat' as its research subject, aiming to clarify its semantic-syntactic properties and to discuss whether this verb can be regarded as a causative verb. In the process of learning Russian, students often tend to use delat' when constructing causative sentences. However, this verb is distinct in usage from its counterparts in English (make) and Korean (“하다”/“만들다”). Starting from this educational issue, it is both educationally and academically necessary to explore what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the Russian verb delat' possesses. Previous studies on delat' are relatively limited; the verb is sometimes merely mentioned as part of a classification of causative verbs or not addressed at all. This research differs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focuses specifically on the inherent meaning and syntactic features of the verb itself,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causativity. Through examples of usage, this study describes the lexical-semantic properties and syntactic combinability of delat', and structurally presents its semantic-syntactic features. It then demonstrates how these features are connected to caus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delat' conveys meanings of production and the induction of state change. The verb is also used in a two-subject, two-predicate structure, which is typical of general causative constructions: ‘Agent of the causative situation + Causative predicate + Agent of the caused situation + Caused situation (Result of causation).’ However, delat' shows distinct features from other causative constructions, particularly in the parts of speech and case realization of the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caused situation. The potential for causative interpretation of delat' is thus closely related to its semantic-syntactic propertie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서경(Seokyoung Hwang). (2025).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의 의미-통사적 특성: 사역성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68 (3), 261-278

MLA

황서경(Seokyoung Hwang). "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의 의미-통사적 특성: 사역성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68.3(2025): 261-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