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산 정약용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교육 - 인간의 심적 조건과 윤리적 행보 주체로서의 인간 이해

이용수  0

영문명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Publicness by Dasan Jeong Yak-yong : Understanding Humanity as Ethical Agents and the Human psyche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저자명
고명희(Myung-Hee Ko)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제39권 제3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1762-1836)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교육을 탐색하며, 그가 교육을 통해 인간의 내면적 심성을 바탕으로 윤리적 행보를 걷는 주체로서의 인간 양성을 구상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17~18세기 조선은 예수회의 다양한 저술이 지식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 시기로, 정약용 역시 성호 이익 계열과 교류하며 주자학과 서학을 아우르는 독자적인 교육철학을 완성하였다. 그는 전통 성리학의 심성론을 재해석하여, 사단과 칠정을 단순한 감정이 아닌 의도와 방향성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운동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개인 내면의 도덕적 완성과 실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유는 공공성을 개별 인간의 주체적 노력과 선택을 바탕으로 완성되는 가치로 여기며, 공공성 실현을 위해 개인에 주목하여 교육의 중심을 각 개인이 독자적인 판단 아래 효제자로서의 행동 양식을 발현할 수 있도록 이끄는 데 두는 것이었다. 또한, 그는 공공성 실현을 위해 인간 개인의 지속적인 자기 노력과 실정에 맞는 사회적 정책이 함께 시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정약용의 교육론은 인간의 자율성과 도덕적 실천을 통해 사회적 공공성을 구현하는 방향을 제시하며, 교육과 행정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사회 전체의 공동선, 즉 공공선을 실현하자고 강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의 교육철학은 현대 교육의 위기와 복잡한 사회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a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He sought to cultivate individuals who embody ethical behavior rooted in their inner nature through education.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Jesuit writings significantly influenced Joseon’s intellectual society. Engaging with the Seongho Yi Ik school, Jeong Yak-yong developed a distinctive educational philosophy that integrated Neo-Confucianism with Western learning. He reinterpreted traditional Neo-Confucian concepts of mind and nature, regarding the “four beginnings(四端)” and “seven emotions(七情)” not merely as feelings but as complex movements shaped by intention and direction. This perspective highlighted the possibility of moral perfection and practice within the individual’s inner self. His philosophy emphasized public spirit as a value realized through each person’s autonomous efforts and choices, enabling individuals to exercise independent judgment and act as filial and fraternal beings. Jeong Yak-yong maintained that continuous self-effort was essential for realizing public spirit, and that education alone was insufficient. He advocated for the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social policies alongside education. His educational theory proposed achieving social publicness through human autonomy and moral practice, underscoring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governance to advance the common good—public welfare. Jeong Yak-yong’s educational philosoph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addressing contemporary educational crises and complex social issues.

목차

Ⅰ. 서 론
Ⅱ. 조선 후기 사상 변동과 그에 따른 인간 심성의 이해
Ⅲ. 사회적 공공성 구현을 위한 인간의 본질적 특성
Ⅳ. 공공성 실현을 위한 교육론과 그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명희(Myung-Hee Ko). (2025).다산 정약용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교육 - 인간의 심적 조건과 윤리적 행보 주체로서의 인간 이해. 교육사상연구, 39 (3), 1-20

MLA

고명희(Myung-Hee Ko). "다산 정약용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교육 - 인간의 심적 조건과 윤리적 행보 주체로서의 인간 이해." 교육사상연구, 39.3(2025):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