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조응공동체 페다고지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Pedagogy in Correspondence Communities that Support Child Learning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저자명
박수연(Su-Yeon Park)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제39권 제3호, 95~11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조응공동체 페다고지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Ingold와 신물질론 등의 포스트 철학을 경유하며 조응공동체에 대해 살펴보고,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조응공동체 페다고지를 탐구하였다. 먼저, 조응공동체는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았다. 조응공동체는 다종의 세계로 그물망을 만들고, 얽힌 공감과 교란을 알아차리며, 구겨짐의 세계에서 느슨한 연대로 작동하는 포스트 코뮨이었다. 다음으로,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조응공동체 페다고지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았다.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조응공동체 페다고지는 교사 학습공동체라는 기존 교사 교육 범주의 경계를 넘어섰다. 영유아의 놀이 장면부터 교사 교육까지 선으로 잇대어지는 조응의 세계를 생성하며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였다. 첫째, 어우러져 살아감의 페다고지이다. 이는 다종의 세계로 그물망을 만드는 놀이와 배움이었고, 그물망이 삶이 되는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이었다. 둘째, 주의 기울임과 알아차림의 페다고지이다. 이는 질문과 배움버리기를 통한 풍부한 배움 읽기, 교란과 얽혀 공감하기, 규정할 수 없는 공동체로 조응하기였다. 이러한 조응공동체 페다고지는 영유아 교육과정에서 운영되는 다양한 공동체에 새로운 페다고지적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edagogy of correspondence communities that support children's learning. To this end, we examined correspondence communities through the lens of Ingold, new materialism and post-philosophy, focusing on how such communities foster children's learn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rrespondence communities function as post-communities that create networks within a diverse world, recognize intertwined empathy and disruptions, and operate as loose alliances in a “world of wrinkles.” Furthermore, the pedagogy of correspondence communities that support children's learning went beyond conventional teacher education models,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by supporting such learning through worlds of correspondence that flow from child play scenes to teacher education. First, it is a pedagogy of living together, where play and learning generate networks of diverse worlds, shaping a curriculum that created a network that became life. Second, it is a pedagogy of attention and awareness, characterized by rich learning through questioning, empathy through disruption, and correspondence as an open, undefined community. This perspective offers new insights for curriculum development by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correspondence communities in reimagining educational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포스트 코뮨으로서의 조응공동체
Ⅲ.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조응공동체 페다고지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연(Su-Yeon Park). (2025).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조응공동체 페다고지 탐구. 교육사상연구, 39 (3), 95-116

MLA

박수연(Su-Yeon Park).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조응공동체 페다고지 탐구." 교육사상연구, 39.3(2025): 95-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