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Cultivating Relationality through Shindok Study: Integrating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and Medit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저자명
- 권선향(Sun-Hyang Kwon)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제39권 제3호, 43~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인성교육에서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자신과의 관계성 함양을 위하여 유학의 신독(愼獨) 개념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불교의 사념처(四念處)와 명상 수행을 통해 구체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관계성 함양의 이론적 기초와 신독의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고, 사념처와 명상 수행법을 신독공부에 접목할 수 있는 원리와 방법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단계별 교육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신과의 관계성은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앞서 인성교육의 기초가 되며, 신독은 내면 성찰을 통한 도덕적 자기 조율의 핵심 수양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념처의 몸(身)·느낌(受)·마음(心)·법(法)을 통한 단계적 관찰과 명상의 알아차림 수행은 신독이 지향하는 내면 성찰과 자기 조절 능력을 체계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실천적 도구임을 밝혔다. 이는 동양 수양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한국 인성교육 철학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며, 자기 주도성과 공동체적 감수성을 통합하는 실천적 방법론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new character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Confucian concept of Shindok (慎獨), highlighting self-related relationality as a foundation of moral development.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hindok and its integration with Buddhist practices, particularly Satipatthāna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and meditation are examined. The study argues that self-reflection and self-regulation, cultivated through these practices, are essential for fostering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approach offers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Eastern traditions of self-cultivation and presents a practical method for integrating self-awareness with communal values in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관계성 함양과 신독공부
Ⅲ. 사념처와 명상을 통한 신독공부
Ⅳ. 사념처와 명상을 통한 신독공부의 교육적 활용방안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억압자들의 구원을 위한 기억의 교육 : 벤야민의 폭력비판과 역사철학을 중심으로
- 신독 공부를 통한 관계성 함양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방안 연구: 사념처와 명상의 접목을 중심으로
- 다산 정약용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교육 - 인간의 심적 조건과 윤리적 행보 주체로서의 인간 이해
- 초등 도덕과 ‘자연과의 관계’ 영역에 대한 불교 생태윤리 적용 가능성 검토
-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조응공동체 페다고지 탐구
- 한나 아렌트의 ‘사유(Thinking)’ 개념의 교육적 함의 탐색
- 플라톤의 비판에 대한 응답으로서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가(mousikē) 교육론 연구
- 정조(正祖)의 경연(經筵) 시행 연구: 「일득록(日得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