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유물론 철학의 종류와 신학적 수용 가능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Types of New Materialist Philosophy and Its Theological Feasibility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저자명
최병학(Byung-Hak Choi)
간행물 정보
『신학과철학』제50호, 313~34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신유물론 철학의 신학적 수용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신유물론의 세 가지주요 흐름 -생기론적 신유물론, 객체지향 존재론, 수행적 유물론- 을 구분하여 소개하고, 이에 대한 철학 내부의 비판을 검토한다. 나아가 인간과 물질(더 나아가 객체와 로봇)의‘존재론적 동일시’를 주장하는 신유물론의 결론에 대하여, 하느님의 형상으로서 인간이지니는 ‘가치론적 차이’ 개념을 통해 비판적 수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물질(객체, 로봇)의 초월성과 영원성 개념 대신, 인간 존재의 피조성과 역사적 유한성을 강조하며, 묵시-종말론적 그리스도 사건에 기초한 역사와 시간 이해를 통해 인간을 해석한다. 이러한관점에서 신유물론을 일정 부분 신학적으로 수용하되, 그 한계를 비판적으로 넘어서는새로운 신학적 패러다임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theological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New Materialist philosophy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its three main strands—vitalist new materialism, object-oriented ontology, and performative materialism—and engaging with philosophical critiques from within the tradition. It critically responds to the New Materialist conclusion of “ontological identification” between humans and matter (including objects and robots) by proposing the “axiological distinction” grounded in the theological notion of the imago Dei. While New Materialism challenges anthropocentric ontologies and affirms the agency of matter, this study contends that theological anthropology must preserve the unique value and vocation of human beings as covenantal and moral agents. Instead of attributing transcendence and eternity to matter, the paper emphasizes human creatureliness and finitude, interpreting humanity through the lens of the apocalyptic-eschatological event of Christ. On this basis, it situates the human vocation within the historical and temporal dimensions of God’s redemptive work. In doing so, the paper argues for a theological appropriation of New Materialism that engages its insights and transcends its limitations, contributing to a constructive theological paradigm for contemporary engagement between theology and posthumanist philosophy.

목차

들어가는 말
1. 신유물론의 세례 요한, ‘물질적 전회’
2. 신유물론의 삼위일체: ‘생기론적 창조’, ‘만물지향 실재’, ‘수행적 육화’
3. 신유물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 철학 내부에서
4. 존재론적 동일성과 가치론적 차이: 신학적 관점에서 신유물론 비판
5. 신유물론 이후의 신학적 패러다임 제안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학(Byung-Hak Choi). (2025).신유물론 철학의 종류와 신학적 수용 가능성 연구. 신학과철학, (), 313-344

MLA

최병학(Byung-Hak Choi). "신유물론 철학의 종류와 신학적 수용 가능성 연구." 신학과철학, (2025): 313-3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