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identine Reform and music in the context of censorship and artistic license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박윤경(Yoon-Kyung Park)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50호, 33~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트리엔트 개혁 시기의 음악을 예술적 자유의 맥락에서 고찰하며 트리엔트공의회의 음악 논의와 법령, 공의회 이후의 개혁 실행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이 시기 지적 사조와 예술 창작 간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트리엔트 공의회의 음악 논의는 ‘세속성’ 과 ‘가사 명료성’이라는 두 가지 의제에 집중되었으나, 최종 법령에서는 구체적인 규제조항 없이 큰 틀만을 제시하는 데 그쳤다. 공의회 이후 개혁의 실행은 성직자와 지역에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엄격한 규제에 순응하기보다 개인성과 예술적 자유가 부각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동시대 미술과 문학의 사례들을 참조하여 보다 직접적인 검열 상황과예술 창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트리엔트 개혁 시기 예술가들은 엄격주의와 검열에 동화되기보다는, 감각적이고 극화된 표현양식을 통해 참신하고 신비적인 체험을 유도하는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에는 예수회의 종교적·교육적 영향력과 신비주의 신학이 주요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교회음악 역시 신앙심의 고취와 영적 체험을 궁극적목표로 삼고, 가사의 명료성과 청각적 즐거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이를 위해 음악가들은 미사나 모테트 작곡에 대위법 전통뿐 아니라 마드리갈의 주요 어법인 반음계와 불협화음을 활용하고, 신비롭고 압도적인 음향을 추구함으로써 감각에 즉각적으로 호소하고자 하였다. 트리엔트 개혁 시기 음악가들은 공의회의 요구와 예술적 자유사이에서 균형을 모색하며, 음악이 영성으로 이끄는 수단으로 인식되는 데 기여했음이 확인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Counter-Reformation Music analyzing the musical discussions and decrees of the Council of Trent as well as post-Tridentine reforms. The Council’s original concerns of music, 'secularity' and 'textual intelligibility', were ultimately omitted from the final decrees, which provided general framework without specific regulatory provisions, leaving their interpretation to local churches.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nsorship and artistic production in contemporary arts reveals that artists often pursued novelty and spirituality through sensuous and dramatic expressions, rather than conforming to rigorism and censorship. The influence of the Jesuits and mystic theology also emerg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arts. Church musicians aimed to achieve both textual intelligibility and auditory pleasure in their mass and motet, employed the traditional counterpoint and madrigal idioms such as chromaticism and dissonance, and created mysterious and rich sonorities, with the ultimate goal of inspiring faith. It is evident that Tridentine musicians sought to balance between the demands of the Church and artistic licens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broader recognition of music as a powerful medium for spiritual experience.
목차
들어가는 말
1. 트리엔트 공의회의 음악 논의와 쟁점
2. 트리엔트 개혁 시기 타예술의 검열과 창작 환경
3.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음악 개혁 요구의 대응 사례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과철학 제50호 목차
- 루카 7,36-50의 소제목 ‘죄 많은 여자를 용서하시다’에 대한 문제 제기
- 트리엔트 개혁과 음악: 검열과 예술적 자유의 맥락에서
- 잊혀진 자선의 사도, 루보훙(陸伯鴻)의 삶과 가톨릭운동
- 2025년 희년에 이르기까지 대사(Indulgentia)의 교회법적 고찰
- 2025 희년 칙서에 대한 생태신학적 성찰
- 『하느님을 찬미하여라』(Laudate Deum)에 내재된 생태적 식별의 구조와 전망
- 깊은 육화의 교의신학적 함의: 전통과 현대 수용 사이의 신학적 조화
- 생티에리의 기욤의 영성 저서에 나타난 ‘실천적 주제들’에 관한 연구
- 순례영성의 철학적 기초
- 성덕의 소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냐시오 순례길’ 체험을 중심으로
- 사람들이 이태석 신부를 기억하는 이유: ‘이태석 현상’에 대한 가톨릭 사회학적 분석
- 신유물론 철학의 종류와 신학적 수용 가능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