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Pilgrimage Spirituality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용해(Yong-Hae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50호, 231~2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2025년 희년 칙서를 요약하고 사이론적 관점에서 성찰한 후, 특정 종교문화를 초월한 순례 영성의 차원에서 철학적 기초를 탐구한다. 연구는윌리엄 데스먼드의 ‘사이론적 형이상학’을 중심으로, 인간 존재를 ‘되어감’의 과정으로 해석하며, 순례를 자기화와 타자화의 역동적 여정으로 규정한다. 순례자는 내적 성찰(자애적 자기화)과 타자와의 상호작용(타애적 자기화)을 통해 공동체적 변화와 영적 성숙을 경험한다. 논문은 희망의 영성을 신학적 덕목을 넘어 존재론적·관계적·실천적 역동성으로확장하여, 현대 사회의 허무주의·전체주의·악의 문제를 타애적 봉사와 열린 공동체, 기원적 선의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끝으로, 순례 영성은 특정 종교의 내적 현상을 넘어 모든인간 존재와 우주적 변화의 과정에 내재된 보편적 인간학적 기반임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ummarizes Pope Francis’s 2025 Jubilee bull and reflects on it from a metaxological perspective, before explor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pilgrimage spirituality beyond the confines of any particular religious culture. Centered on William Desmond’s “metaxological metaphysics,” the study interprets human existence as a process of becoming, and defines pilgrimage as a dynamic journey of self-becoming and other-becoming. The pilgrim experiences communal transformation and spiritual maturity through inner reflection (erotic selving) and interaction with others (agapeic selving). The paper extends the spirituality of hope beyond a theological virtue to an ontological, relational, and practical dynamism, reinterpreting the contemporary challenges of nihilism, totalitarianism, and evil in terms of agapeic service, open community, and original goods. Ultimately, the study argues that pilgrimage spirituality constitutes a universal anthropological foundation inherent not only to the internal phenomena of particular religions, but to the process of becoming of all human existence and cosmic transformation.
목차
시작하는 말
1. 순례하는 인간과 사이론
2. 칙서 의 사이론적 성찰
3. 순례 영성의 철학적 토대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과철학 제50호 목차
- 루카 7,36-50의 소제목 ‘죄 많은 여자를 용서하시다’에 대한 문제 제기
- 트리엔트 개혁과 음악: 검열과 예술적 자유의 맥락에서
- 잊혀진 자선의 사도, 루보훙(陸伯鴻)의 삶과 가톨릭운동
- 2025년 희년에 이르기까지 대사(Indulgentia)의 교회법적 고찰
- 2025 희년 칙서에 대한 생태신학적 성찰
- 『하느님을 찬미하여라』(Laudate Deum)에 내재된 생태적 식별의 구조와 전망
- 깊은 육화의 교의신학적 함의: 전통과 현대 수용 사이의 신학적 조화
- 생티에리의 기욤의 영성 저서에 나타난 ‘실천적 주제들’에 관한 연구
- 순례영성의 철학적 기초
- 성덕의 소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냐시오 순례길’ 체험을 중심으로
- 사람들이 이태석 신부를 기억하는 이유: ‘이태석 현상’에 대한 가톨릭 사회학적 분석
- 신유물론 철학의 종류와 신학적 수용 가능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