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ep Incarnation and Dogma: Between Tradition and Contemporary Theology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조은나(Eun-Na Cho) 이규성(Kyu-Sung Lee)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50호, 175~19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고전 교부들의 육화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깊은 육화(Deep Incarnation)’ 신학이 제기하는 신학적 확장 가능성과 그 교의신학적 함의를 분석한다. 특히 아타나시우스의 신화(deificatio) 사상과 라너의 존재론적 육화 이해를 중심으로, 육화가 단지 인간구원의 수단이 아닌 하느님의 자기-증여로서 창조 전체에 작용하는 우주적 사건임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은 전통 교의가 지닌 삼위일체론적 구조와 위격적 구원론의 범주 안에서, 창조와 구원, 성사와 종말 사이의 신학적 연속성을 통합하려는 시도이다. 동시에, 본 논문은 ‘깊은 육화’ 개념이 과정철학에 기반한 존재론적 내재성에 의존할 경우, 범신론적 해석의 위험성과 전통적 신론의 인격성과 초월성을 약화시킬 가능성을 지적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깊은 육화 신학이 교의신학 안에서 정당하게 수용되기 위해 필요한해석학적 경계와 교의적 식별의 기준을 제시한다. 육화는 하느님의 존재가 피조물 안에실재적으로 자신을 내어주신 결정적 사건이며, 이는 고통받는 창조와의 연대 안에서 그신비가 더욱 심화된다. 교의신학은 전통에 충실하면서도, 시대의 물음 속에서 성령의 소리를 식별하는 해석의 과업으로서, 깊은 육화 신학이 제기하는 신학적 통찰을 비판적으로수용하고 재구성할 책임을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modern concept of “Deep Incarn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Catholic dogmatic theology, based on the classical patristic understanding of the Incarnation. Drawing particularly on Athanasius’s doctrine of deificatio and Karl Rahner’s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Incarnation, this paper seeks to demonstrate that the Incarnation is not merely a means for human salvation but a cosmic event in which God’s self-communication extends to all creation. By interpreting the Incarnation as the ultimate act of divine self-giving, the study aims to integrate traditional theological categories—creation and redemption, sacrament and eschatology—within a unified dogmatic structure. At the same time, it critically addresses the theological risks posed by the philosophical presuppositions of Deep Incarnation, especially its proximity to process philosophy and panentheistic interpretations. The paper argues that for Deep Incarnation to be theologically valid within Catholic doctrine, it must be grounded in the Trinitarian personalism, the uniqueness of the Incarnation in Christ, and the freedom of divine grace. The Incarnation is thus affirmed as the decisive event of God’s real presence within creaturely reality, deepened through divine solidarity with suffering creation. Ultimately, dogmatic theology must engage with contemporary theological insights like Deep Incarnation not by abandoning tradition, but by discerning the voice of the Spirit through faithful reinterpretation of the mystery of divine revelation.
목차
들어가기
1. ‘깊은 육화’의 신학적 전개: 그레게르센과 현대 교의신학
2. ‘깊은 육화’의 교의신학적 확장성과 해석학적 경계
3. 아타나시우스와 칼 라너의 존재론적 육화 이해
4. 십자가와 피조물: 고통받는 창조와 하느님의 연대
5. 오늘날의 과제: 해석학적 과제와 미래 신학의 지평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과철학 제50호 목차
- 루카 7,36-50의 소제목 ‘죄 많은 여자를 용서하시다’에 대한 문제 제기
- 트리엔트 개혁과 음악: 검열과 예술적 자유의 맥락에서
- 잊혀진 자선의 사도, 루보훙(陸伯鴻)의 삶과 가톨릭운동
- 2025년 희년에 이르기까지 대사(Indulgentia)의 교회법적 고찰
- 2025 희년 칙서에 대한 생태신학적 성찰
- 『하느님을 찬미하여라』(Laudate Deum)에 내재된 생태적 식별의 구조와 전망
- 깊은 육화의 교의신학적 함의: 전통과 현대 수용 사이의 신학적 조화
- 생티에리의 기욤의 영성 저서에 나타난 ‘실천적 주제들’에 관한 연구
- 순례영성의 철학적 기초
- 성덕의 소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냐시오 순례길’ 체험을 중심으로
- 사람들이 이태석 신부를 기억하는 이유: ‘이태석 현상’에 대한 가톨릭 사회학적 분석
- 신유물론 철학의 종류와 신학적 수용 가능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