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hy the Korean Society Remember Father Lee Tae-seok: A Catholic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Lee Tae-seok Phenomenon’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선필(SeonPil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50호, 285~31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5년, 이태석 신부가 선종한지 15년이 지났다. 짧지 않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많은사람들은 여전히 그를 기억하고, 그에게 감동하며, 그가 남긴 뜻을 이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람들이 이태석 신부를 잊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들은 이태석 신부를 통해 세상이 부추기는 성공의 허무함과 진정한 행복이 가져오는 충만함을 간접 경험하며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그들은 한국 사회의 최종 승리자였던의사 이태석이 모든 것을 버리고 천주교 수도자이자, 사제, 선교사가 되어 가장 가난한 나라인 수단에 가서 활동하는 모습을 미디어를 통해 지켜보았다. 그리고 그 안에서 경쟁의굴레에 갇혀 진정한 행복을 누리지 못하는 자신의 모습과 그 굴레를 벗어나 진정한 행복을 누리는 한 인물, 곧 이태석 신부를 발견했다. 이에 사람들은 기존의 자신들이 진정 원하는 필요, 곧 행복의 본질을 깨닫게 만든 이태석 신부를 영웅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그것은 사람들이 지금까지 그를 잊지 못하게 만드는 주요 동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태석 현상은 이태석 신부가 속해 있던 한국 천주교회의 모습을 돌아보게 만든다. 과연 한국 교회는 예수께서 알려주신 참된 행복을 사람들에게 알려주며 증거하고있는가? 한편 이태석 신부는 우리와 함께 살아갔던 이웃이었고, 참된 행복을 살아가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 ‘옆집의 성인’이었다. 그는 누군가의 옆집에 사는 우리도성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온몸으로 보여준 것이다.
영문 초록
In 2025, fifte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eath of Father Lee Tae-seok. Despite the passage of time, many people still remember him, remain deeply moved by his life, and strive to carry on the mission he left behind. Why, then, does Father Lee remain so unforgettable? Through his story, people experience a kind of catharsis as they vicariously encounter the emptiness of worldly success and the profound fulfillment that comes from authentic happiness. Korean society observed—largely through the media—how Lee Tae-seok, once a successful physician and one of the so-called ‘ultimate winners’ in Korean society, gave up everything to become a Catholic religious, priest, and missionary. He dedicated his life to serving in Sudan,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In witnessing this, people were confronted with the reality of their own lives—trapped in a relentless cycle of competition that often prevents true happiness— and contrasted it with the life of someone who had broken free from that cycle and embodied genuine joy. In this contrast, they discovered not only a reflection of their own struggles but also a living example of an alternative path. As such, Father Lee came to be regarded as a hero—someone who revealed the essence of the happiness they truly longed for. This recognition is one of the key reasons he continues to be remembered so vividly.
The ‘Lee Tae-seok phenomenon’ prompts reflection 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itself. Is the Church in Korea effectively bearing witness to and proclaiming the true happiness that Jesus taught? Father Lee was not a distant or otherworldly figure; he was a neighbor, someone who lived among us. His life demonstrated that living out true Christian happiness is not an unattainable ideal. In this sense, he was a ‘Saint Next Door’, showing with his entire life that even ordinary people like us can become saints.
목차
1. 서론
2. 이태석 현상의 원인
3. 이태석 현상을 통해 한국 천주교회를 바라보기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과철학 제50호 목차
- 루카 7,36-50의 소제목 ‘죄 많은 여자를 용서하시다’에 대한 문제 제기
- 트리엔트 개혁과 음악: 검열과 예술적 자유의 맥락에서
- 잊혀진 자선의 사도, 루보훙(陸伯鴻)의 삶과 가톨릭운동
- 2025년 희년에 이르기까지 대사(Indulgentia)의 교회법적 고찰
- 2025 희년 칙서에 대한 생태신학적 성찰
- 『하느님을 찬미하여라』(Laudate Deum)에 내재된 생태적 식별의 구조와 전망
- 깊은 육화의 교의신학적 함의: 전통과 현대 수용 사이의 신학적 조화
- 생티에리의 기욤의 영성 저서에 나타난 ‘실천적 주제들’에 관한 연구
- 순례영성의 철학적 기초
- 성덕의 소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냐시오 순례길’ 체험을 중심으로
- 사람들이 이태석 신부를 기억하는 이유: ‘이태석 현상’에 대한 가톨릭 사회학적 분석
- 신유물론 철학의 종류와 신학적 수용 가능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