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cological Discernment in Pope Francis's Laudate Deum : Structure and Prospects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문영(Moon-Young Kim) 김영훈(You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50호, 145~17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복합 생태 위기의 시대에 식별(discernment)이 신학적 응답의 핵심적 방법임을 전제로, 교황 프란치스코의 사도적 권고『하느님을 찬미하여라』(Laudate Deum)에 내재된 식별 구조를 분석한다. 복합 현실을 관찰(see)하고 복음적 관점에서 성찰(judge)하며그리스도인의 실천(act)으로 응답하는 3단계 식별 틀은 가톨릭 사회교리의 본질적 구조이며,『하느님을 찬미하여라』도 예외가 아니다. 비록 이 문헌이 ‘식별’이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사회교리 전통의 틀로 이해할 때 그 안에 내재된 식별 과정을감지할 수 있다.
본 논문은『하느님을 찬미하여라』가 기후 위기라는 복합적 현실 안에서 정치·경제 구조의 윤리적 책임을 성찰하고 행동으로 응답할 것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식별 행위로 해석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아울러 이러한 식별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프란치스코 교황이제시하는 생태적 응답이 사회정치적 회심과 연결되는 통합적 식별임을 밝힌다. 나아가『찬미받으소서』(Laudato Si')에서 제시된 통전적(integral) 회심 구조와 조응하는 식별의신학적 차원을 ‘생태적 식별’(ecological discernment)이라는 개념으로 제안하고, 이를 통합 생태론의 회심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신학적 틀로 발전시키기 위한 가능성과 전망을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dvances a theological reading of Pope Francis’s apostolic exhortation Laudate Deum by elucidating its latent structure of discernment, deemed indispensable for informed ecclesial engagement amid contemporary ecological complexity. Grounded in the tripartite itinerary of Catholic social teaching—namely, the attentive “seeing” of socio-environmental realities; the Gospel-informed “judging” of their ethical dimensions; and the consequential “acting” in Christian praxis—this paper demonstrates that Laudate Deum, although refraining from explicit reference to “discernment,” nevertheless enacts this hermeneutic framework. Attesting to the exhortation’s exigency, the analysis reveals how it summons the faith community to undertake rigorous ethical reflection upon, and decisive intervention within, prevailing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s shaped by the multifaceted climate crisis.
Building upon this structural exegesis, the paper contends that Pope Francis’s ecological mandate exemplifies an integrative form of discernment, one that seamlessly converges with the dynamics of sociopolitical conversion. In dialogue with the schema of integral conversion articulated in Laudato Si’, it further proposes the concept of “ecological discernment” as a heuristic for situating this convocatory process within a broader theological-ecological paradigm. The conclusion appraises the prospective contours of such a framework, outlining its promise for fostering a conversion-oriented integral ecology that coheres spiritual, ethical, and socio-political renewal.
목차
들어가는 말
1. 교황 프란치스코의 생태 문헌과 식별
2. 『하느님을 찬미하여라』에 내재된 식별 구조
3. 생태적 식별의 제안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과철학 제50호 목차
- 루카 7,36-50의 소제목 ‘죄 많은 여자를 용서하시다’에 대한 문제 제기
- 트리엔트 개혁과 음악: 검열과 예술적 자유의 맥락에서
- 잊혀진 자선의 사도, 루보훙(陸伯鴻)의 삶과 가톨릭운동
- 2025년 희년에 이르기까지 대사(Indulgentia)의 교회법적 고찰
- 2025 희년 칙서에 대한 생태신학적 성찰
- 『하느님을 찬미하여라』(Laudate Deum)에 내재된 생태적 식별의 구조와 전망
- 깊은 육화의 교의신학적 함의: 전통과 현대 수용 사이의 신학적 조화
- 생티에리의 기욤의 영성 저서에 나타난 ‘실천적 주제들’에 관한 연구
- 순례영성의 철학적 기초
- 성덕의 소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냐시오 순례길’ 체험을 중심으로
- 사람들이 이태석 신부를 기억하는 이유: ‘이태석 현상’에 대한 가톨릭 사회학적 분석
- 신유물론 철학의 종류와 신학적 수용 가능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