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ception of Du Fu's Poetry in Korea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이현일(Hyun-il Lee)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83輯, 265~309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韓國은 15세기에 세계 최초로 杜詩를 自國語로 完譯한 나라이다. 이 글은 선학들의 성과를 바탕으로 필자의 一知半解를 덧붙여 그린 어렴풋한 윤곽일 뿐이지만, 그 강조점이 선학들과 다른 점이 있다.
杜甫는 中唐 이후에 詩壇에서 주목받기 시작하여 北宋代에 ‘詩聖’으로서의 지위가 굳어졌다. 한국 한시사에서도 杜甫가 典範이 되는 시인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高麗 高宗(在位 1213~1259) 연간부터이며, 李奎報(1168~1241)는 100여 수가 넘는 排律을 지은바, 이는 두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추정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한시사의 각 시기별로 杜詩 수용에 중요한 사건들이 있었다. 우선 世宗의 命으로 엮은 『纂註分類杜詩』(1444 이후)와 成宗 연간에 이루어진 『杜詩諺解』(1481 이후)의 간행이 중요하다. 그리고 世宗의 訓民正音 創製(1443)와 頒布(1446) 역시 杜詩 수용에 결정적 역할을 한 사실을 놓쳐서는 안 된다. 조선의 16세기와 17세기는 唐詩가 再發見된 시기로 한편으로 樂府風의 邊塞詩와 香奩詩가 유행하는 가운데, 다른 한편으로, 長篇 排律이 盛行하면서 극단적으로 긴 작품들이 출현하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15세기~17세기 한국 한시 중 杜甫를 가장 잘 배운 작품으로 金宗直(1431~1492)의 七言律詩 1首와 盧守愼(1515~1590)의 五言律詩 1首, 李安訥(1571~1637)의 「四月十五日」을 꼽아 자세히 읽어 보았다.
18세기 이후에는 李植(1584~1647)이 撰한 『纂註杜詩澤風堂批解』가 중요한 杜詩 학습서가 되었다. 또 正祖(在位 1776~1800)가 편찬케 한 『杜律分韻』이나 『杜陸千選』은 모두 律詩 위주의 選集이다. 조선의 18세기~19세기에는 특히 七言律詩가 선호되었으며, 杜甫의 작품이 중요한 전범 역할을 하였다.
한국에서 漢文學 전통은 1894년 甲午更張 때 科擧制가 폐지되면서 공식적으로 終焉을 告하였다. 1945년 光復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새 나라의 ‘國語’와 ‘國文’ 교육이 시작된바, 한국의 국어·문학 교과서에는 오랜 기간 『杜詩諺解』에 수록된 작품이 실려 있다. 곧 杜詩가 한국어와 한국 문학을 가르치는 중요한 텍스트가 되어, 현대 한국인의 정신을 살찌우는 데 공헌한 것이다. 嘉藍 李秉岐(1891~1968) 및 東國大學校에서 敎學 활동을 한 梁柱東(1903~1977)-李炳疇(1921~2010)의 공헌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Korea was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publish a complete translation of Du Fu(杜甫)'s poetry into its own language in the late 15th century, titled The Korean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Poetry of Du Fu(杜詩諺解). It is no easy task to gauge the depth and breadth of this learning and acceptance. This article is merely a vague outline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previous scholars, with the author's limited perspective added, but its emphasis differs from that of previous scholars.
In general, Du Fu began to attract attention in the poetry world after the Mid-Tang Dynasty, and his status as the greatest poet was solidifi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In Sino-Korean poetry, Du Fu began to be recognized as a model poet for other writers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of Korea Dynasty(reigned 1213-1259). Lee Gyu-bo (李奎報, 1168-1241) composed over 100 poems in the long code verse style(排律).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is works was influenced by Du Fu.
After the Chosun Dynasty began, there were important events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Du Fu's poetry in each period of Sion-Korean poetry history. Among them, there are three events that became important milestone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First, under the orders of King Sejong(世宗), a selection of Du Fu's poems from the Yuan Dynasty was published in the book The Commentaries on Du Fu's Poems Classified by Theme(纂註分類杜詩)(1444 onwards). Next,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Poetry of Du Fu(杜詩諺解).(1481 onwards)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was also important. With the publication of these two books, chosun intellectuals of that time and later generations had access to textbooks for studying Du Fu's poetry. Furthermore, we must not overlook the fact that Sejong's creation of the The Right Alphabet for Educating the People(訓民正音), or Hangul,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achievement for Koreans at that time, also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acceptance of Du Fu's poetry. The creation of it made Koran translation possible, and the existence of the The Korean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Poetry of Du Fu(杜詩諺解) became an important catalyst for Du Fu's poetry to play a certain role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even in the 20th century and beyond.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 Chosun Dynasty were a period of rediscovery of Tang poetry(唐詩), with the popularity of the Yuefu Poetry(樂府詩)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e of extremely long works, as seen in the case of Lee Gyubo, with the prevalence of long code verses.
In this article, I selected three works that best exemplify the influence of Du Fu in 15th to 17th century Sino-Korean poetry: one seven-syllabic code verse by Kim Jong-jik(金宗直, 1431~1492), one five-character regulated verse by Noh Su-sin(盧守愼, 1515~1590), and ‘April 15th(四月十五日)’ by Lee An-nul (1571~1637). I read these works in detail.
After the 18th century, Lee Sik(1584~1647)’s The Critical Commentaries on Du Fu's Poems by Wind and Swamp(纂註杜詩澤風堂批解) became an important textbook for studying Du Fu’s poetry. Kim Chang-hyeop(金昌協, 1651~1708), who theoretically supported new trends in Sino-Korean classical literature after the 18th century, opened up a new trend in 18th century poetry by harshly criticizing Lee Gyubo and Nam Yongik in his book Essays of Nongam(農巖雜識). King Jeongjo(正祖, reign: 1776~1800) also took a critical stance toward long code verse. The Code Verse of Du Fu Classified by Rhymes(杜律分韻) and The One Thousand Code Verse of Du Fu and Lu you(杜陸千選), compiled by King Jeongjo, are both anthologies of code verse works.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Joseon, seven-character syllabic code verse was popular, and it was the most beloved form of poetry among members of poetry societies(詩社). In this the w
목차
1. 들어가며
2. 高麗時代 杜甫 인식과 李奎報의 排律 창작
3. 朝鮮時代 杜詩 受容의 深化 4. 나오며: 韓國古典文學正典으로서의 杜詩와 『杜詩諺解』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한문학 제83집 목차
- 孝에서 三綱으로 : 『三綱行實圖』 편찬 과정을 통해 본 유교 조선의 자기표상
- 『東人詩話』를 구성하고 있는 텍스트의 출처 분석
- 知退堂 李廷馨의 『黃兎記事』 異本 고찰
- 忍庵 趙載道의 생애와 사상 연구 - 문헌서지적 검토를 겸하여
- 鶴峯 金誠一 『冊置簿』에 대한 小攷
- 조선 중기 擬古詩의 유형별 擬古 양상 연구 - <古詩十九首>와 연관된 작품을 중심으로
- 李福源 館閣文에 대한 小考
- 韓國 杜詩 受容史에 대한 管見
- 『조선불교월보』·『해동불보』의 事蹟·傳記 수록 양상과 의미 - 익명 기사의 TACL 기반 n-gram 저자 추정 시론을 겸하여
참고문헌
- 다운샘
- 華正書局
- 人民文學出版社
- 日本圖書
- 講談社
- Walter de Gruyter Inc
- 다운샘
- 韓國學中央硏究院
- 돌베개
- 三文社
- 國史編纂委
- 中華書局
- 中華書局
- 上海古籍出版社
- 中華書局
- 中國文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大東漢文學
- 현암사
- 東國大學校 國語國文학科 博士學位論文
- 溫知論叢
- 일조각
- 漢文學論集
- 語文論集
- 아세아문화사
- 국어사 연구
- 교 육논집
- 역락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인문연구실 편
- 東亞漢學硏究
- 成均館大學校 漢文學科 博士學位論文
- 18세기 한시사 연구
- 韓國 漢詩의 分析과 視覺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한박웃음
- 一潮閣
- 博文書館
- 一潮閣
- 乙酉文化社
- 探究堂
- 韓國漢文學硏究
- 儒學硏究
- 通文館
- 探究堂
- 二友出版社
- 東慶語文論集
- 민음사
- 아르케
- 서울대학교출판부
- 明文堂
- 다운샘
- 한국 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 韓國漢文學硏究
- 東 洋漢文學
- Journal of Korean Culture
- Journal of korean Culture
- Journal of korean Culture
- 漢文學報
- 소명출판
- 국제어문
- 大東漢文學
- 태학사
- 漢文學報
- 韓國漢文學硏究
- 점필재
- 上海古籍出版社
- 中華書局
- 中華書局
- 일본문화연구
-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韓國漢文學硏究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