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rom Filial Piety to the Three Bonds : The Compilation of Samganghaengsil(三綱行實) and the Confucian Self-Representation of Joseon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구슬아(Seul-Ah Koo)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83輯, 5~3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15세기 세종대의 역동적 학술장의 맥락에서 『삼강행실도』 편찬 과정을 재구함으로써, 이 서적이 한반도가 유교문명국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 구체적 원동력이 무엇인지 조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거 비교에 그치지 않고 편찬 ‘과정’의 학술적 역량과 지적 노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초간본 『삼강행실도』가 중화지식과 한반도 내적 전통을 어떻게 집대성하여 ‘효-충-열’ 三綱의 체제로 확장하였는지를 추적하였다.
먼저 『효행록』을 증보하여 민풍을 교정하려던 초기의 기획이 『효순사실』을 주요 전거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며 삼강의 체제로 확대된 과정을 실증하였다. 집현전 학사들은 『효순사실』을 순차적·능동적으로 분석하며 일화를 선별했는데, 그 중 일부 사례가 『효자도』가 아닌 『충신도』에 수록되었다. 이는 ‘충’의 윤리를 새롭게 인식하고 효행 권선서의 범주에서 탈락시키는 대신, 이를 재맥락화하여 체제 자체를 확장한 의욕적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은 조선이 실용적 지식이 아닌 유교문명과 관련한 서적의 편찬에 있어서도 중화지식을 비판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둘째, 1430년대를 전후한 조선 학술장의 맥락 위에서 『삼강행실도』 편찬의 위상을 입체적으로 조감하였다. 『자치통감』, 『고려사』, 『홍무예제』, 『소학집성』 등을 병행하여 연찬하던 시기, 『삼강행실도』는 윤리 교화와 정치 이념을 결합한 학술장의 정점에서 편찬되었다. 특히 『소학집성』이 『삼강행실도』의 판화도상에 직접 영향을 미쳤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이처럼 『삼강행실도』는 단일 전거에 의존하지 않고 중화지식을 다채로운 층위에서 검토한 뒤, 그것을 조선의 정치적 방향성 및 필요성 등에 적합하게 재구성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삼강행실도』의 편찬 주체 역시 유교 조선의 정치적 방향성과 문명적 정체성을 명료화할 수 있었다. 『삼강행실도』는 만백성을 대상으로 유교적 일화를 통해 교화를 이뤄내려는 내용뿐 아니라, 유교-중화문명의 지식체계를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15세기 조선의 맥락에 맞게 구현한 대표적 성과로서 그 의의가 재평가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examines the compilation process of Samganghaengsil(三綱行實) within the context of the dynamic scholarly milieu of 15th-century Joseo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intertextual comparison, it critically investigates the intellectual efforts and scholarly organization behind the compilation, and retraces how the original edition of Samganghaengsil integrated both Sinic knowledge and local traditions to expand into the system of the Three Bonds(三綱: filial piety, loyalty, and chastity).
The paper first demonstrates how the initial plan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Hyohangnok(孝行錄) as a didactic text for correcting popular customs was soon redirected to adopt Xiaoshunshishi(孝順事實) as its primary textual source, thereby transforming into a comprehensive Three Bonds compilation. Scholars of the Jiphyeonjeon analyzed Xiaoshunshishi in a sequential and proactive manner, selectively incorporating narratives—some of which were classified under Chungsindo(忠臣圖) rather than Hyojado(孝子圖). This shift reveals a new recognition of loyalty(忠) within the framework of filial piety(孝), and highlights the editors’ intentional reinterpretation that led to structural expansion. Such editorial choices indicate that Joseon critically and actively engaged with Sinic knowledge even in state-sponsored texts of civilizational direction, not merely of practical utility.
The paper further locates the compilation of Samganghaengsil within the larger intellectual programs of 1430s Joseon, during which texts like Zizhitongjian,(資治通鑑), Goryeosa(高麗史), HongwuLizhi(洪武禮制), and Xiaoxuejicheng(小學集成) were studied in parallel. In particular, this study is the first to identify direct influence from Xiaoxuejicheng on the visual iconography of Samganghaengsil. Ultimately, the compilation project itself enabled the Joseon court to clarify and visualize its identity as a Confucian state through a localized reinterpretation of the Sino-Confucian knowledge system.
목차
1. 문제제기
2. 『孝順事實』에서 재발견한 忠: 三綱으로의 확대 과정
3. 1430년대 학술장에서 다시 본 『三綱行實圖』
4. 유교 조선의 자기표상 과정 속 『삼강행실도』 편찬의 의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한문학 제83집 목차
- 孝에서 三綱으로 : 『三綱行實圖』 편찬 과정을 통해 본 유교 조선의 자기표상
- 『東人詩話』를 구성하고 있는 텍스트의 출처 분석
- 知退堂 李廷馨의 『黃兎記事』 異本 고찰
- 忍庵 趙載道의 생애와 사상 연구 - 문헌서지적 검토를 겸하여
- 鶴峯 金誠一 『冊置簿』에 대한 小攷
- 조선 중기 擬古詩의 유형별 擬古 양상 연구 - <古詩十九首>와 연관된 작품을 중심으로
- 李福源 館閣文에 대한 小考
- 韓國 杜詩 受容史에 대한 管見
- 『조선불교월보』·『해동불보』의 事蹟·傳記 수록 양상과 의미 - 익명 기사의 TACL 기반 n-gram 저자 추정 시론을 겸하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