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중기 擬古詩의 유형별 擬古 양상 연구 - <古詩十九首>와 연관된 작품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aspects of archaism of the archaic poems by catego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poems related to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이훈(Hoon Lee)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第83輯, 157~211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중기 의고시의 유형과 주요 특성을 개괄하고, <古詩十九首>와 연관된 조선 중기 擬古詩의 유형별 擬古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 의고시의 史的 전개상 조선 중기 의고시에 나타난 주요 특성으로는 <고시십구수> 전체를 모의한 의고시가 등장한 점, 의고시 작가에 대제학을 역임하거나 대제학에 추천된 문인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는 점, 의고시 작가의 대다수가 사승 관계나 혈연과 연혼 관계로 연결되어 있는 점, 교유의 수단으로 창작된 唱和詩로서의 의고시가 등장한 점 등을 거론하였다. <고시십구수>와 연관된 조선 중기 의고시의 유형별 의고 양상에 대한 주요 논의는 다음과 같다. 육기의 <擬古詩十二首>는 <고시십구수>를 모의한 것으로, 이 유형에 속하는 의고시는 <고시십구수>의 體裁를 유지하면서 句數를 가감하는 방식으로 모의하는 양상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유몽인의 <擬古詩十九首軆>, 신흠의 <後十九首>, 홍구연의 의고시 18수, 신최의 <擬古十首>를 대상으로 하여 <고시십구수>의 句數를 가감한 양상 및 語句의 차용과 詩意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였고, 아울러 중국 의고시와의 연관성과 개별성도 고찰하였다. 도연명의 <擬古九首>는 漢魏의 詩歌에서 소재, 주제, 어구, 語法, 詩意 등을 일부 차용하여 자신의 감정이나 사상을 형상화한 것으로, <고시십구수>와 연관된 측면에서 두 가지 모의 양상을 지닌다. 즉 모의 대상이 불명확하지만 <고시십구수>의 어구가 일부 함유되어 있는 것과 <고시십구수>의 특정 시를 모의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시십구수>의 어구가 함유된 의고시’와 ‘<고시십구수>를 모의한 시가 포함된 의고시’에 해당되는 작품을 선별하여 어구의 차용 양상을 고찰하고 모의 대상으로 삼은 原詩를 구명하였다. 소식의 <和擬古九首>는 도연명의 <擬古九首>를 화운한 것으로, 이 유형에 속하는 의고시는 前人의 의고시를 화운하면서 <고시십구수>를 포함한 前代 작품에서 어구를 차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한국 의고시의 史的 전개상 조선 전기까지는 주로 중국의 의고시를 화운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조선 중기에 들어오면 교유 인물의 의고시를 화운의 대상으로 삼은 작품이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국의 의고시를 화운한 追和詩’와 ‘교유 인물의 의고시를 화운한 唱和詩’로 분류하여 <고시십구수>와 연관된 작품을 위주로 어구의 차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of archaism of the archaic poems by category in the mid-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works related to .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archaic poetr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it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archaic poems imitating the entire appeared. Second, many literati who served as Daejehak or were recommended to Daejehak performed as archaic poetry writers. Third, the majority of archaic poetry writers were connected by blood ties, marriages, and teacher-disciple relationships. Fourth, the archaic poems emerged as the Changhwasi that composed by a means of literati’s social intercourses. These characteristics ar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archaic poems in the mid-Joseon Dynasty, and serve as the basis for confirming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aic poems was driven by combining external influence and internal progress. The works belonging to Luji’s , imitated , maintain the style of but show the pattern of imitating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number of lines. In this study, it examines several works: Yoo Mong-in(柳夢寅)’s , Shin Heum’s , Hong Guyeon’s 18 archaic poems and Shin Choe’s . It analyzes those works, in comparison with , the aspects of adding or subtracting the number of lines, the borrowing of the phrases and the embodiment of the story, and the relatedness and uniqueness with Chinese archaic poems. Tao Yuan-ming’s borrowed some of the materials, themes, phrases and stories from the poetry of Han Wei to embody own emotions and thoughts. In his poems, it has two aspects related to imitating of : first, the object of imitation is unclear, but it includes some phrases or stories from , and second, it imitates several specific poems of . Accordingly, this study selects some works which are archaic poems ‘borrowing phrases or story of ’ and ‘containing poems imitating ’, and investigates the state of phrases that are borrowed from and the original poems which are the object of imitation. The works belonging to Su Shi’s which is followed the rhymes of Tao Yuan-ming’s show patterns: composed in the way of bouts-rimes of the former archaic poems, and imitated some of the phrases or stories of previous archaic poems including .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archaic poetry, the target of bouts-rimes was Chinese archaic poems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in the mid-Joseon Dynasty, several works using the archaic poems by the literati’s social intercourses as objects of bouts-rimes appeared.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works corresponding to ‘Chuhwasi(bouts-rimes of Chinese archaic poems)’ and ‘Changhwasi(bouts-rimes of the archaic poems by companions)’ are selected to examine the objects of bouts-rimes and the aspects of archaism.

목차

1. 서론
2. 조선 중기 의고시의 유형과 주요 특성
3. 조선 중기 의고시의 유형별 擬古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훈(Hoon Lee). (2025).조선 중기 擬古詩의 유형별 擬古 양상 연구 - <古詩十九首>와 연관된 작품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 (), 157-211

MLA

이훈(Hoon Lee). "조선 중기 擬古詩의 유형별 擬古 양상 연구 - <古詩十九首>와 연관된 작품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 (2025): 157-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