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忍庵 趙載道의 생애와 사상 연구 - 문헌서지적 검토를 겸하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Life and Thought of Jo Jae‑do (Inam, 1725 - 1749): A Bibliographical Examination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민학(Minhak Kim)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第83輯, 103~13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忍庵 趙載道(1725-1749)는 조선 양명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가계와 생애, 『인암유고』의 편찬 경위와 서지적 특성, 사상적 특이성의 세 측면에서 조재도를 고찰한다. 조재도는 일찍부터 뛰어난 재주로 趙文命, 趙顯命 형제를 비롯해 온 집안의 기대를 한 몸에 모았다. 풍양 조문의 촉망받는 인재가 으레 그러하였듯 어린 시절 趙龜命에게 수학하였는데, 조귀명의 사유는 조재도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조재도의 문장은 그의 형 趙載遇와 조카 趙尙鎭이 수습하였으며, 姪孫 趙雲從의 『勉菴遺稿』와 함께 정리자체 철활자로 간행되었다. 서문은 양명학에 조예가 깊은 신대우가 썼다. 당연한 말이지만 조재도는 주자를 존숭하였다. 한편으로는 이단이라 하더라도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불교와 양명에 대하여 남긴 글에서 잘 알 수 있다. 조재도는 『능엄경』의 문장을 상찬하였으며, 王守仁의 사상을 인정하였다. 본고에서는 <讀陽明子>를 분석하여 조재도가 주자의 격물치지설을 어떠한 논리로 비판하였는지, 주자학과 양명학을 어떻게 이해하고자 하였는지를 고찰한다.

영문 초록

This essay investigates how Il-um Kim Sang-il searched for the study of Li(禮) in his poetry published in The Posthumous Works of Il-um(一广遺稿). Kim is a descendant of Sagye Kim Jang-saeng, who was one of the great masters of the study of Li(禮學) of the Chosun dynasty. The poet lived a secluded life neighboring Daedun Mountain of South Chungcheong, focusing on writing poetry instead of taking civil examination to be a scholar-official. Since Kim was a descendant from a concubine of Kim Jang-saeng, he had, to some extent, limits to be a true successor of the family tradition. The poet reflected on how he could undertake a task before the trees lowering a shade on the graves of his ancestors. He realized that his task as a descendant was the study of Li(禮) and literature. Therefore, he found real joy in Li(禮) as the practice of Tao(道) and made language his symbol and laurel. For the poet, Li was not confined to the practical rules; instead, the restraint of propriety(約禮) is more important in terms of writing literature. The two pen-names of the poet deliver his literary inclination: one house(一广) and deaf fellow(聾叟). He combined the body and the practice of Neo-confucianism in the former; and he showed his awe to the Heaven in the form of his inability to hear. Human being is supposed to be silent before the presence of the Heaven in his poetry. In this context, he regarded his deafness as a kind of blessing. Il-um Kim Sang-il searched for the study of Li(禮), reflecting on his family tradition. He enlarged the tradition to the horizon of literature and pursued the literature of restraint of propriety.

목차

1. 緖
2. 忍庵 趙載道의 생애
3. 『忍庵遺稿』의 문헌학적 검토
4. 『인암유고』의 내용과 의의: 朱子學과 陽明學의 保合
5. 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학(Minhak Kim). (2025).忍庵 趙載道의 생애와 사상 연구 - 문헌서지적 검토를 겸하여. 대동한문학, (), 103-131

MLA

김민학(Minhak Kim). "忍庵 趙載道의 생애와 사상 연구 - 문헌서지적 검토를 겸하여." 대동한문학, (2025): 103-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