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Expanding Liberal Arts Education Infrastructure (Liberal Arts Teacher Ratio) and Its Impact on Disciplinary Expulsion Rates Through Maladjustment-Related Voluntary Withdrawal :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of School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오유진(Youjin Oh) 한규은(Kyueun Ha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4호, 217~23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2020년 서울시 25개 행정구역 내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양교사 비율이 징계성퇴학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부적응 자퇴율의 매개효과와 학교폭력 발생비율의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심리상담교사 비율을 통제변인으로 투입함으로써 심리상담 서비스가 학생의학교적응 및 행동문제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을 배제하여 연구의 내적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Hayes의Process Model 7을 활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교양교사 비율이 높은 학교에서 징계성 퇴학률이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이 관계는 부적응 자퇴율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폭력발생율과 교양교사 비율 간의 상호작용이 부적응 자퇴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높은 학교폭력 발생 환경에서도 교양교사 비율이 높은 학교는 부적응 자퇴율과 징계성 퇴학률이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이러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부적응과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접근으로서 교양교육 강화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으며, 특히 학교폭력 발생률이 높은 지역의 고등학교에서 교양교육에 대한전략적 투자가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교육 불평등 해소와 학생 정서 발달 지원을위한 차별화된 교육 자원 배분의 필요성에 대한 학술적·정책적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liberal arts teacher ratios on disciplinary expulsion rates in high schools across 25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from 2019-2020,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justment-related voluntary withdrawal rat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violence incidence rates. Psychological counseling teacher ratios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to exclude the potential influence of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on student school adjustment and behavioral problems, thereby enhancing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study. Using Hayes's Process Model 7 for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schools with higher liberal arts teacher ratios had significantly lower disciplinary expulsion rates, and this relationship was fully mediated by maladjustment-related voluntary withdrawal rates.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school violence incidence rates and liberal arts teacher ratio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ladjustment-related voluntary withdrawal rates. Particularly, schools with higher liberal arts teacher ratios showed relatively lower maladjustment-related voluntary withdrawal rates and disciplinary expulsion rates even in high school violence environm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confirmed that these indirect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liberal arts education as a policy approach to reducing school maladjustment and problematic behaviors, particularly suggesting that strategic investment in liberal arts education may be more effective in high schools in areas with high school violence rates. This provides academic and policy evidence for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educational resource allocation to address educational inequality and support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 학부 유학생을 위한 단계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전공자율선택제와 교양교육의 Synergy 창출을 위한 과제
- 개념적으로 타당한 논증은 형식적으로 타당한 논증인가?
- 전공자율선택제와 융합교양교육 - 학문적 기반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접근
- 전문대학 교원의 인식 분석을 통한 교양교육 발전 과제와 전략
- 휴타고지적 접근을 통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질적 강화 - 자기결정학습의 실현을 위한 시론(試論)
- 미래 교육 패러다임 Education 5.0에서 교양교육의 인간 중심적 가치 탐색
- Translating Gyoyang Beyond Semantic Entropy in Korean Higher Education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Generative AI Usage in EFL Academic Writing Classes at a Korean University
-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 : Rethinking the ELT Role
- 공영방송 콘텐츠 기반 교양교육혁신 모델 연구 - 운영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 인문교양교육에 관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 한국어 말하기 평가 대비를 위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멀티모달(Multimodal) 기반 음성 상호작용 기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 Journal of Adolescence
- The Future of Children
- Educational Researcher
- Harvard University Press
-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mmunications
-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 In M. J. Mayer & S. R. Jimerson (Eds.), School safety and violence prevention: Science, practice, policy
-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 Child Abuse & Neglect
- Sustainability
- Guilford Publications
- Corwin Press
- Kyoyook Kwahaksa Publishing Compan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Educational Researcher
- Harvard Educational Review
-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 Sociology of Educ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 Harvard University Press
- California Dropout Research Project Report No. 15
- Civil Rights Project/Proyecto Derechos Civiles
- American Psychologist
-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 Desarrollo y Sociedad
-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 학부 유학생을 위한 단계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