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ategies for Creating Synergy between the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and Libe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규(Sangkyu Park)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9~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공자율선택제와 교양교육, 그리고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 간의 시너지 창출 방안을모색한다. 최근 대학 정책은 ‘벽을 허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학 간, 학문 간, 지역 간의 경계를 허물고 융합과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논문은 자율전공선택제와 교양교육이 어떻게 상호보완적 역할을 수행하며, 미래 인재 양성과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특히, ‘연결성(connectivity)’을 핵심 키워드로 삼아, 생태계적관점에서 정책과 제도의 통합적 접근을 제시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 정책 과제와 실천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교양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재정립, 그리고 제도 간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통해 대학 혁신과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전략적 방향성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정책적, 교육적, 생태계적 관점이융합된 통합적 분석을 통해, 대학과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for creating synergy among the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liberal education, and government-funded university support programs. Recent higher education policies focus on breaking down barriers—between disciplines, institutions, and regions—to foster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In this context, the paper analyzes how the autonomous major system and liberal education can complement each other to foster future talent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Emphasizing “connectivity” as a core concept, the study presents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policy and institutional integration, proposing specific policy tasks and practical strategies. It also discusses the redefinition of the identity and role of liberal education, along with strengthening inter-system linkages, to support university innov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that combines policy, educational, and ecological viewpoints, this research offers practical insights for sustainable growth of universities and regional communities.
목차
1. 서론
2. 자율전공선택제와 교양교육의 연동가능성
3. 자율전공선택제와 교양교육의 포지셔닝(Positioning)
4. 전공자율선택제와 교양교육의 Synergy를 위한 과제
5. 제언: 정부재정지원 사업과 자율전공선택제 그리고 교양교육의 시너지 창출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 학부 유학생을 위한 단계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전공자율선택제와 교양교육의 Synergy 창출을 위한 과제
- 개념적으로 타당한 논증은 형식적으로 타당한 논증인가?
- 전공자율선택제와 융합교양교육 - 학문적 기반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접근
- 전문대학 교원의 인식 분석을 통한 교양교육 발전 과제와 전략
- 휴타고지적 접근을 통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질적 강화 - 자기결정학습의 실현을 위한 시론(試論)
- 미래 교육 패러다임 Education 5.0에서 교양교육의 인간 중심적 가치 탐색
- Translating Gyoyang Beyond Semantic Entropy in Korean Higher Education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Generative AI Usage in EFL Academic Writing Classes at a Korean University
-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 : Rethinking the ELT Role
- 공영방송 콘텐츠 기반 교양교육혁신 모델 연구 - 운영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 인문교양교육에 관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 한국어 말하기 평가 대비를 위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멀티모달(Multimodal) 기반 음성 상호작용 기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 학부 유학생을 위한 단계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