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신재(Shinjae Park)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03~11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고등교육에서 영어매개수업(EMI)의 급속한 확산이 영어교육(ELT) 전문가의 역할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탐구한다. EMI는 국제화를 위한 국가 전략으로 폭넓게 도입되었으나, 상향식이 아닌 하향식 추진 과정에서 교수·학습준비 부족, 학문적 지원 부재, 제도적 조율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본 논문은 정책 현황 분석 및 최근 연구를 토대로, ELT 전문가가 영어 교육자에 머무르지 않고 전공 분야별 학문 목적 영어(ESAP) 제공자이자 교과과정 공동 설계자로서새로운 역할을 요구를 받고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체계적인 언어 지원 체제 구축의 필요성, CLIL과 같은 통합적 교수모형의 잠재력, 그리고 EMI 맥락에서 ELT 전문가의 언어학적 전문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해야 하는 필요성을 논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전 EAP, 수업 중 내재화된 ESAP 모듈, 사후 학술 글쓰기 지원으로 구성된 3단계 ELT 지원모형을 제안하며, ELT 전문가가 EMI 수업의 전·중·후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궁극적으로본 연구는 한국의 EMI 수업이 보다 효과적이고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적,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apid expansion of English-Medium Instruction (EMI) in Korean higher education is reshaping the roles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practitioners. While EMI has been widely adopted as a national strategy for internationalization, its top-down implementation has revealed critical gaps in pedagogical preparedness, academic language support, and institutional coordination. Drawing on policy analysis and recent scholarship, this paper highlights the evolving expectations placed on ELT professionals—not only as providers of general English instruction, but also as key contributors to discipline-specific academic English (ESAP) and as collaborative partners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tructured language support systems, the potential of integrative models such as CLIL, and the need to formally recognize the linguistic expertise of ELT practitioners within EMI programs. To bridge the gap between policy and practice, it proposes a 3-Phase ELT Support Model, in which ELT professionals play a central role before, during, and after EMI instruction—via pre-sessional EAP, embedded ESAP modules, and post-course writing support. Ultimately, the study offers pedagog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equity of EMI in the Korean context.
목차
1. Introduction
2. English-Medium Instruction
3. Expanding Role of ELT Practitioners in EMI Contexts
4.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 학부 유학생을 위한 단계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전공자율선택제와 교양교육의 Synergy 창출을 위한 과제
- 개념적으로 타당한 논증은 형식적으로 타당한 논증인가?
- 전공자율선택제와 융합교양교육 - 학문적 기반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접근
- 전문대학 교원의 인식 분석을 통한 교양교육 발전 과제와 전략
- 휴타고지적 접근을 통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질적 강화 - 자기결정학습의 실현을 위한 시론(試論)
- 미래 교육 패러다임 Education 5.0에서 교양교육의 인간 중심적 가치 탐색
- Translating Gyoyang Beyond Semantic Entropy in Korean Higher Education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Generative AI Usage in EFL Academic Writing Classes at a Korean University
-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 : Rethinking the ELT Role
- 공영방송 콘텐츠 기반 교양교육혁신 모델 연구 - 운영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 인문교양교육에 관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 한국어 말하기 평가 대비를 위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멀티모달(Multimodal) 기반 음성 상호작용 기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 학부 유학생을 위한 단계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