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말하기 평가 대비를 위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멀티모달(Multimodal) 기반 음성 상호작용 기능을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Exploring the Potential of Generative AI for Korean Speaking Assessment : Focusing on Multimodal-based Voice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장지영(Jiyeong Jang) 박수연(Sooyeon Park)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4호, 205~21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멀티모달 기반 음성 상호작용 기능을 갖춘 생성형 인공지능 GPT-4o를 활용하여 한국어말하기 평가 문항에 대한 응답 생성 능력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OPIK 말하기 평가 6개 문항에 대해 GPT-4o의 음성 응답을 수집하고, 한국어 교육 전문가18인의 채점을 통해 문항 유형 및 평가 항목별 수행 양상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GPT-4o는 문법적 정확성과 논리적 구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억양, 발화 속도, 화용적 적절성 등에서는 한계가 드러났다. 특히 실제 학습자 수준을 초과하는 고급 어휘 사용과 발화전달 방식이 어색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PT-4o는 실시간 말하기 연습, 모범 응답제시, 자율 피드백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GPT-4o가 한국어 말하기평가 대비 학습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객관적 근거를 제시하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GPT-4o, a multimodal generative AI equipped with real-time voice interaction, in generating responses to Korean speaking proficiency test tasks. To this end, the study collected voice-based responses to six TOPIK speaking tasks generated by GPT-4o and analyzed them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the evaluations of 18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The results indicate that GPT-4o demonstrates high performance in grammatical accuracy and logical structure but reveals clear limitations in prosodic features such as intonation, speech rate, and pragmatic appropriateness. In particular, the use of overly advanced vocabulary and unnatural delivery was repeatedly pointed out as misaligned with actual learner proficiency levels. Nevertheless, the study found that GPT-4o holds potential as a supplementary tool for speaking test preparation, especially for modeling ideal responses, providing self-directed feedback, and enabling repeated practice in autonomous learning contexts.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applicability of multimodal AI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s the need for future studies that compare various multimodal models and examine response patterns under more complex input conditions combining visual, contextual, and interactive elements.
목차
1. 서론
2.생성형 AI와 한국어 평가
3. 연구 설계 및 분석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 학부 유학생을 위한 단계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전공자율선택제와 교양교육의 Synergy 창출을 위한 과제
- 개념적으로 타당한 논증은 형식적으로 타당한 논증인가?
- 전공자율선택제와 융합교양교육 - 학문적 기반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접근
- 전문대학 교원의 인식 분석을 통한 교양교육 발전 과제와 전략
- 휴타고지적 접근을 통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질적 강화 - 자기결정학습의 실현을 위한 시론(試論)
- 미래 교육 패러다임 Education 5.0에서 교양교육의 인간 중심적 가치 탐색
- Translating Gyoyang Beyond Semantic Entropy in Korean Higher Education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Generative AI Usage in EFL Academic Writing Classes at a Korean University
-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 : Rethinking the ELT Role
- 공영방송 콘텐츠 기반 교양교육혁신 모델 연구 - 운영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 인문교양교육에 관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 한국어 말하기 평가 대비를 위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멀티모달(Multimodal) 기반 음성 상호작용 기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 Korean Language Studies
- 우리말연구
-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청람어문교육
- Yeongju Language and Literature
- 영주어문
-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Bilingual Research
- 이중언어학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 한국어문교육
- Journal of Chiropractic Medicine
- Arnold Publishers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청람어문교육
- Korean Language Education
- 국어교육
- Grammar Education
- 문법교육
- Inter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 국제어문
- New Korean Language Education
- 새국어교육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ommunications of the ACM
- Minyeongsa
- 비즈니스 북스
- Baedalmal
- 배달말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 학부 유학생을 위한 단계별 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인프라(교양교사 비율)의 확대가 부적응 자퇴를 매개로 징계성 퇴학률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