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휴타고지적 접근을 통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질적 강화 - 자기결정학습의 실현을 위한 시론(試論)

이용수  3

영문명
Enhancing General Education Writing through Heutagogy : A Preliminary Study on Realizing Self-Determined Learning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남미(Nammee Kim)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4호, 89~10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교양 글쓰기 교육의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휴타고지(Heutagogy)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휴타고지의 수업 내 실현을 위한 과제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기결정학습에 기반한 학습자중심 접근법인 휴타고지는 학습자 주체성, 자기 효능감과 유능성, 메타인지 및 성찰을 핵심 원리로삼는다. 이러한 원리는 학습자가 스스로 관점을 형성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비선형적 학습 경로를탐색해야 하는 교양 글쓰기 교육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휴타고지의 자기결정학습에서 학습자는 자기 관점과 가치관을 형성하며 학습의 목표와 경로를 스스로 설계하고 수정하는 존재로 재정의된다. 자기결정학습은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글쓰기 과정과사고의 방식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 신뢰와 주체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경험하여, ‘전이 가능한저자성’을 획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교수는 자기결정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을 지지하고촉진하는 조력자로서, 수업의 설계자이자 관찰자, 조정자로 기능한다. 교수 역시 자신의 수업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며, 휴타고지적 교육 실천의 주체로서 지속적인 개선을 수행할 수 있는 주체로서 기능하여야한다.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자기결정학습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자 간 위상을 실현하기위한 수업 내 권력 구조의 명확화, 평가 및 피드백 체계의 재구성, 휴타고지 핵심 가치의 수업 내공유, 기존 글쓰기 이론을 재해석하는 과제를 풀어가야 한다. 특히 학습자의 개별적 학습 경로와 성장을존중하고, 메타인지 및 반성적 성찰을 촉진하는 구조를 수업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heutagogy to general education writing instruction, with the aim of enhancing its pedagogical quality and identifying practical challenges to its implementation. Heutagogy, a learner-centered approach grounded in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ed learning, is based on four core principles: learner agency, self-efficacy and capability, metacognition, and reflection. These principles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writing, where learners are required to develop their own perspectives, engage in critical reflection, and navigate non-linear learning trajectories. Within this framework, learners are redefined as autonomous agents who actively construct and revise their own learning goals and pathways. Through self-determined learning, students explore their writing processes and patterns of thinking, fostering trust in their own abilities and developing transferable authorship—an adaptable capacity for writing across diverse contexts. Instructors function as facilitators, designers, observers, and co-learners who support learners’ self-directed growth while engaging in ongoing reflective practice. To fully implement self-determined learning in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s, several pedagogical challenges must be addressed: clarifying classroom power dynamics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restructuring systems of assessment and feedback, embedding core heutagogical values into instructional design, and reinterpreting existing writing theories. Most critically, course structures must respect individual learning trajectories and growth while fostering metacognitive awareness and reflective engage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검토
3. 교양 글쓰기 수업의 질적 강화를 위한 휴타고지적 접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미(Nammee Kim). (2025).휴타고지적 접근을 통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질적 강화 - 자기결정학습의 실현을 위한 시론(試論). 교양교육연구, 19 (4), 89-102

MLA

김남미(Nammee Kim). "휴타고지적 접근을 통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질적 강화 - 자기결정학습의 실현을 위한 시론(試論)." 교양교육연구, 19.4(2025): 89-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