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 between Sense of Crisis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Women: Mediating effects of search for meaning, generativity and presence of meaning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남인숙(In-Suk NAM) 박미하(Mi-Ha BAK)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4호, 183~2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의미추구, 생성감, 의미발견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년여성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6.0과 AMOS 21.0 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위기감이 의미발견을 통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의미추구 와 의미발견의 순차적 이중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의미추구와 생성감, 의미발 견의 순차적 삼중부분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년여성 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위기감 자체를 낮추려는 노력과 함께 의미추구, 생성감, 의미발견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sense of crisis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women with search for meaning, generativity and presence of meaning as mediators and verify their mediating effect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96 middle-aged women and analyzed data using SPSS 26.0 and AMOS 21.0. For the results, in the relation between middle-aged women's sense of crisis and life satisfaction, sense of crisi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presence of meaning. A serial doubl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was confirmed. The serial triple mediation effect of search for meaning, generativity and presence of meaning was also be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the search for meaning, generativity and presence of meaning identified as parameters, along with efforts to lower the sense of crisis itself.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협업 구조와 실천 과제: 안산시 실무자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법
- 사례와 토론 중심의 상담자 윤리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 흡연 고등학생의 애착불안과 니코틴 의존도 간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 심리상담자의 직업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으로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에 의해 조절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외국인 유학생에 관한 국내 상담 분야 학술지와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연구 동향 분석
- G대학교 재학생의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 대한 연구
-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의미추구, 생성감,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 국내 인간중심상담 연구의 학문적 발전 방향 고찰: 최근 12년 연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교정적 관계 경험 이후 삶에서 일어난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기 외상경험이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성인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 청년 자살 게이트키퍼들의 자살예방 개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협업 구조와 실천 과제: 안산시 실무자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법
- 사례와 토론 중심의 상담자 윤리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