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Generative AI Among Students at G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광옥(Kwang-Ok KIM) 장기덕(Keel-Duck JA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4호, 171~18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상북도 김천시에 위치한 G대학교 재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생성형 인공 지능(Generative AI)에 대한 인식과 활용 경험을 조사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2.0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5.4%가 AI 사용 경험이 있었으며, 주요 활용 목적은 학업 지원과 정보 탐색이었다. 편의성, 유용성, 흥미, 신뢰성 등 모든 만족도 항목과 교육적 효과성(M=3.51), 교육 필요성(M=3.65) 모두 중앙값 이상으로 나타 났다. 대부분의 학생은 AI를 아이디어 도출이나 초안 작성에 활용하였으며, 결과물을 그 대로 제출한 비율은 7.5%로 나타났다. 그러나 AI 활용 지침 미제공(67.4%)과 리터러시 격차가 잠재적 문제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 차원의 윤리지침 마련, 단계별 리터 러시 교육, 창의·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과제 설계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rveyed 175 students enrolled at G University, located in Gimcheon, Gyeongsangbuk-do,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ive AI).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showed that 75.4%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 using AI, with the primary purposes being academic support and information retrieval. All satisfaction factors—including convenience, usefulness, interest, and reliability—along with educational effectiveness (M = 3.51) and the perceived necessity of education (M = 3.65) were above the median. Most students used AI for idea generation or drafting, while 7.5% submitted outputs exactly as generated. However,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usage guidelines (67.4%) and literacy gap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issu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universities develop ethical guidelines, implement phased AI literacy education, and design assignments that promote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협업 구조와 실천 과제: 안산시 실무자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법
- 사례와 토론 중심의 상담자 윤리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 흡연 고등학생의 애착불안과 니코틴 의존도 간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 심리상담자의 직업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으로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에 의해 조절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외국인 유학생에 관한 국내 상담 분야 학술지와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연구 동향 분석
- G대학교 재학생의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 대한 연구
-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의미추구, 생성감,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 국내 인간중심상담 연구의 학문적 발전 방향 고찰: 최근 12년 연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교정적 관계 경험 이후 삶에서 일어난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기 외상경험이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성인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 청년 자살 게이트키퍼들의 자살예방 개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협업 구조와 실천 과제: 안산시 실무자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법
- 사례와 토론 중심의 상담자 윤리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