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adolescents' peer attachment on internet addiction: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ing and distress tolerance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최낙운(Nak-Woon CHOI) 이문희(Mun-Hee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4호, 303~3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순차 적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 청소년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Hayes(2017)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 서 정신화는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또래애착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에서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은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또래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정 신화가 높아지며 이는 고통감내력을 증가시켜 결국 인터넷 중독을 낮추는 것이다. 마지 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distress toler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To this end, a self-report survey was administered to 219 adolescent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ayes’(2017) PROCESS macro.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taliz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Second, distress tolera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Third, mentalization and distress tolerance demonstrate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In other words, the more stable the peer attachment, the higher the level of mentalization, which in turn increased distress tolerance and ultimately reduced internet addi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협업 구조와 실천 과제: 안산시 실무자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법
- 사례와 토론 중심의 상담자 윤리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 흡연 고등학생의 애착불안과 니코틴 의존도 간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 심리상담자의 직업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으로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에 의해 조절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외국인 유학생에 관한 국내 상담 분야 학술지와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연구 동향 분석
- G대학교 재학생의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 대한 연구
-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의미추구, 생성감,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 국내 인간중심상담 연구의 학문적 발전 방향 고찰: 최근 12년 연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교정적 관계 경험 이후 삶에서 일어난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기 외상경험이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성인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 청년 자살 게이트키퍼들의 자살예방 개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협업 구조와 실천 과제: 안산시 실무자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법
- 사례와 토론 중심의 상담자 윤리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