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Moderated by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정선(Jeong-Sun LEE) 채은영(Eun-Young CHA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4호, 127~1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 개효과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포함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 상은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326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침묵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대 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침묵을 통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이르는 경로에서 자기개 념 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개 인 내적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 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self-silencing as a mediator. The participants were 326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the SPSS PROCESS Macro. As a results of the study, First, self-silencing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self-concept clarit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ilenc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a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in the pathway fro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o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self-silenc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dividual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방법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4호 목차
- 심리상담자의 직업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으로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에 의해 조절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외국인 유학생에 관한 국내 상담 분야 학술지와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협업 구조와 실천 과제: 안산시 실무자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법
- 사례와 토론 중심의 상담자 윤리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 흡연 고등학생의 애착불안과 니코틴 의존도 간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의미추구, 생성감,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 G대학교 재학생의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 대한 연구
- 국내 인간중심상담 연구의 학문적 발전 방향 고찰: 최근 12년 연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교정적 관계 경험 이후 삶에서 일어난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청년 자살 게이트키퍼들의 자살예방 개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기 외상경험이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성인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4호 목차
- 심리상담자의 직업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으로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에 의해 조절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