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Inquiry on Youth Suicide Gatekeepers’ Intervention Experience for Suicide Prevent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노연희(Yeon-Hee NOH) 김가빈(Ga-Bin KIM) 신서원(Seo-Won SHIN)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4호, 285~30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살 고위험군 대한 개입을 수행한 청년 자살 게이트키퍼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이다. 총 11명의 자살 고위험군 개입 경험이 있는 청년 게이트키퍼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떨리는 자살 위기 징후’, ‘두려움과 죄책감 속에서 나아가기’, ‘연민으로 감싸기’, ‘주저앉 게 만드는 방해물’, ‘남겨진 보람과 상흔’이라는 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요약하면 게이트키퍼들은 자살 고위험군을 만났을 때 불안과 당혹감을 경험하면서도,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연민의 마음으로 개입을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은 다양한 어려움들을 만나며 실망과 좌절을 경험하였고 자살위기가 끝난 이후에는 보람과 함께 다 양한 정서적 상흔이 남았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게이트키퍼의 자살예 방 개입을 촉진하고 2차 외상을 예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ed the lived experience of youth gatekeepers’ suicide prevention processes with people at suicide risk.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five themes emerged: ‘Trembling in the face of suicide crisis’, ‘Moving forward amid fear and guilt’, ‘Embracing with compassion’, ‘Obstacles that hold me back’, and ‘Lingering rewards and scars’. In sum, youth gatekeepers continued to engage in suicide prevention out of the fear of loss and compassion, while experiencing anxiety and bewilderment. Furthermore, they experienced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when confronting various obstacles. After the crisis they reported a sense of fulfillment and emotional scar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to promote gatekeeper suicide prevention and to prevent their secondary trauma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협업 구조와 실천 과제: 안산시 실무자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법
- 사례와 토론 중심의 상담자 윤리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 흡연 고등학생의 애착불안과 니코틴 의존도 간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 심리상담자의 직업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으로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에 의해 조절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외국인 유학생에 관한 국내 상담 분야 학술지와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연구 동향 분석
- G대학교 재학생의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 대한 연구
-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의미추구, 생성감,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 국내 인간중심상담 연구의 학문적 발전 방향 고찰: 최근 12년 연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교정적 관계 경험 이후 삶에서 일어난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기 외상경험이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성인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 청년 자살 게이트키퍼들의 자살예방 개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협업 구조와 실천 과제: 안산시 실무자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방법
- 사례와 토론 중심의 상담자 윤리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