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Experiential Value of DERMA COSMETIC on Product Trust and Repurchase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송혜민(Hey Min Song) 심재숙(Jae Sook Shim) 이종현(Jong Hy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6권 제2호, 75~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2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DERMA COSMETIC's experiential value on product trust and repurchase behavior. The research involved 215 men and women with prior experience purchasing products from nail salo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DERMA COSMETIC's experiential value has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product trust. Specifically,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significantly enhance the perceived popularity of the product, while they also have a notable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expertise. Second, in terms of repurchase behavior, functional, social, and emotional values were found to exert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repurchase behavior. Third, product trust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behavior. The greater the perceived expertise and popularity of the product, the more likely consumers were to repurchase it.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s that a higher experiential value of DERMA COSMETIC leads to greater product trust and increased repurchase behavior. Notably, DERMA COSMETIC’s experiential value plays a key role in consumer satisfaction by strengthening the product’s perceived popularity, expertise, and ability to meet customer needs through functional, social, and emotional valu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작품 제작 - 칸딘스키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6권 제2호 목차
- 뷰티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의 WLB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미용장 취득 후 자아존중감 및 직무효능감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 브랜드별 헤어 케어 제품 디자인 이미지 특성 및 트렌드 동향 분석
- 미용전공자의 전문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 중국 월분패 특성을 활용한 디지털 뷰티디자인 연구
- 미용전공 대학생의 학업 자아개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20~50대 여성의 색조화장품 사용 태도가 외모 만족도를 매개로 외모 인식과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종사자의 개인적 직무능력에 따른 특성 분석과 향상방안
- 뷰티 관련 유튜브 콘텐츠 이용동기 구성개념 정립
- 더마코스메틱의 경험가치가 제품신뢰도와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기혼자의 신체 이미지 인식과 자아존중감 및 긍정적 정서의 관계
- 뷰티 애플리케이션이 기초화장품 재구매 의향 및 화장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미용전공 대학생의 마인드셋이 그릿,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20대 여성의 1.2.3선 도시별 에스테틱샵 이용 및 위생 상태 차이 연구
- 미용실의 서비스 인카운터 품질이 고객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심도와 두피·모발지식 및 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 안면 MTS 시술 후 수크랄페이트 함유 올인원크림의 피부 재생 효과
- AR 필터의 감각적 몰입에 대한 페르소나 형성과 외모만족도의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