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WLB)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Beauty Service Industry Work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문희정(Hee-Jung Mu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6권 제2호, 55~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2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beauty service worker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from November 21 to December 15, 2024. A total of 258 responses were analyzed to examine how work-life balance influenc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lationship.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rk-life bala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B=0.643, p<0.01), suggesting that higher levels of work-life balance contribute to a more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work-life balance had a nega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0.120, p<0.05), indicating that as individuals strive to balance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their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may decrease.
Thir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nega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0.016, p<0.001), implying that as organizational culture strengthens, organizational commitment may decline. Fourth, i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life balance had a direct negative (-) effect (β=-0.115, t=-1.238, p<0.01). However, when mediated by organizational culture, it showed a positive (+) effect (β=0.043, t=0.464, p<0.01), indicating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excessive emphasis on work-life balance may weaken employee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goal orientation, potentially leading to lowe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beauty service owners should not only support work-life balance but also cultivate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to effectively enhance employee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작품 제작 - 칸딘스키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6권 제2호 목차
- 뷰티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의 WLB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미용장 취득 후 자아존중감 및 직무효능감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 브랜드별 헤어 케어 제품 디자인 이미지 특성 및 트렌드 동향 분석
- 미용전공자의 전문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 중국 월분패 특성을 활용한 디지털 뷰티디자인 연구
- 미용전공 대학생의 학업 자아개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20~50대 여성의 색조화장품 사용 태도가 외모 만족도를 매개로 외모 인식과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종사자의 개인적 직무능력에 따른 특성 분석과 향상방안
- 뷰티 관련 유튜브 콘텐츠 이용동기 구성개념 정립
- 더마코스메틱의 경험가치가 제품신뢰도와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기혼자의 신체 이미지 인식과 자아존중감 및 긍정적 정서의 관계
- 뷰티 애플리케이션이 기초화장품 재구매 의향 및 화장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미용전공 대학생의 마인드셋이 그릿,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20대 여성의 1.2.3선 도시별 에스테틱샵 이용 및 위생 상태 차이 연구
- 미용실의 서비스 인카운터 품질이 고객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심도와 두피·모발지식 및 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 안면 MTS 시술 후 수크랄페이트 함유 올인원크림의 피부 재생 효과
- AR 필터의 감각적 몰입에 대한 페르소나 형성과 외모만족도의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