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nceptualization Patterns and Semantic Map Construction of the Korean Verbs “Ipda” and “Beotd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란(Huilan Zhe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6권 3호, 299~32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ceptualization patterns of the Korean polysemous verbs ipda (“to put on”) and beotda (“to take off”), and visualizes their semantic network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semantic map. Usage ex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Modu Corpus, focusing on noun-verb collocations. Based on this corpus data, the study analyzes how the two verbs conceptualize meaning through embodied experiences. The analysis shows that ipda typically represents a cognitive frame of acceptance and internalization, while beotda reflects removal and liberation. Ipda tends to be used in contexts involving the acceptance of negative experiences or the acquisition of moral or social benefits. In contrast, beotda more broadly denotes liberation from various constraints—social, psychological, or physical. By integrating corpus-based metaphor analysis with semantic map visualization, this research offers both empirical evidence and methodological insight into Korean polysemous verbs. The proposed framework can be applied to broader studies on cognitive meaning extension in Korean, metaphorical patterns across culture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vocabulary instruction.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이론적 토대
3. 연구 내용 및 방법
4. 개념화 양상 대조 및 의미 지도 구축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 36권 3호 목차
- 한국어 문어성 조사(調査) 연구의 동향 분석 -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하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부사 습득 연구
- 말하기 유창성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북미 지역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 학술 분야별 한국어 ‘부사+용언’ 연어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어디에 위치하는가? - 학문분류체계 속의 정체성 탐색
- 감사와 사과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NAKS-ACTFL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Korean School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글 모음 음절 쓰기 특성 분석
- 읽기 학습용 모바일 앱 활용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TTMIK Stories 앱 사례 연구
-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지각 오류 양상
- 읽기 중 문법 해독 기술 검사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 탐색
- 동사 ‘입다’와 ‘벗다’의 개념화 양상 및 의미 지도 구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