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Modal Adverbs by Beginner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연(Seungyeon Lee) 이유경(Yoo 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6권 3호, 203~23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quisition of modal adverbs by beginning learners of Korean by analyzing their types, frequency, and accuracy in spoken data. For this purpose, instances of modal adverb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rom free conversation data collected over five months from eight beginning-level Korean learner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dal adverbs most frequently used at the early stage were ama (“probably”), jinjja (“really”), and sasil (“in fact”), among which jinjja and sasil showed relatively high semantic and syntactic accuracy. In contrast, ama exhibited lower syntactic accuracy due to its diverse range of co-occurring grammatical forms and learners’ incomplete acquisition of such patterns. Other frequently used modal adverbs included hoksi (“by any chance”), kkok (“surely”), and byeollo (“not particularly”). Among them, byeollo posed little difficulty for learners due to its relatively clear usage condition of appearing only in negative sentences. However, hoksi and kkok were more difficult to use accurately, as they can be combined with a wide variety of grammatical constructions. An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wed that although jeongmal (“really/truly”) was widely presented in instructional materials, jinjja was acquir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by learners. This suggests that modal adverb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spoken discourse may be acquired more easily than modal adverbs which are frequently presented in textbook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rgues that modal adverbs with high frequency but low grammatical accuracy should be reinforced through supplementary vocabulary-focused instruction that emphasizes both modal meanings and syntactic constraint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결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 36권 3호 목차
- 한국어 문어성 조사(調査) 연구의 동향 분석 -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하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부사 습득 연구
- 말하기 유창성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북미 지역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 학술 분야별 한국어 ‘부사+용언’ 연어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어디에 위치하는가? - 학문분류체계 속의 정체성 탐색
- 감사와 사과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NAKS-ACTFL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Korean School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글 모음 음절 쓰기 특성 분석
- 읽기 학습용 모바일 앱 활용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TTMIK Stories 앱 사례 연구
-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지각 오류 양상
- 읽기 중 문법 해독 기술 검사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 탐색
- 동사 ‘입다’와 ‘벗다’의 개념화 양상 및 의미 지도 구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