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Speech Act Realizations with Co-occurring Gratitude and Apology in Korean and Japanes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순연(Soonyoun Lee) 황선영(Sunyoung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6권 3호, 183~2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preferences for using expressions of apology and gratitude in contexts where both speech acts co-occur. A total of 160 participants (80 native Korean and 80 Japanese speakers) completed a survey to examine their preferences for apology and gratitude expressions in thesed contexts. The results showed that Japanese speakers tended to use apology expressions more frequently than Korean speakers, who often favored gratitude alone, particularly with less intimate or older interlocutors. Both groups demonstrated an increased use of apology expressions in less intimate relationships; however, Japanese speakers overall exhibited a stronger tendency to apologize regardless of the addressee’s age or familiarity. Additionally, Japanese speakers exhibited consistently high use of apology expressions even with peers or younger interlocutors, whereas Korean speakers preferred gratitude expressions. These findings revealed cross-cultural differences that may lead to pragmatic errors among language learners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pedagogical strategies to address these differences. The study limitations included its reliance on survey data, with no inclusion of natural speech samples or interview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qualitative research.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 36권 3호 목차
- 한국어 문어성 조사(調査) 연구의 동향 분석 -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하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부사 습득 연구
- 말하기 유창성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북미 지역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 학술 분야별 한국어 ‘부사+용언’ 연어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어디에 위치하는가? - 학문분류체계 속의 정체성 탐색
- 감사와 사과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NAKS-ACTFL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Korean School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글 모음 음절 쓰기 특성 분석
- 읽기 학습용 모바일 앱 활용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TTMIK Stories 앱 사례 연구
-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지각 오류 양상
- 읽기 중 문법 해독 기술 검사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 탐색
- 동사 ‘입다’와 ‘벗다’의 개념화 양상 및 의미 지도 구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