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 Error Patterns in Korean Monophthongs by Uzbek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안성민(Sung-min An)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6권 3호, 123~14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ual error patterns in Korean monophthongs among intermediate-level Uzbek learners of Korean. The research identifies which factors influence vowel misperception, such as syllable structure, preceding consonants, and individual vowel characteristics. Utilizing a repeated-measures design, a percep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en female Uzbek learners, yielding a total of 1,258 response tokens. The results show an overall perception error rate of 8.0%,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proficiency level or syllable structur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manner of articulation of the preceding consonant; perception errors increased notably when the consonant was the Korean liquid. Vowel-specif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vowels /ㅓ/, /ㅗ/, /ㅜ/ and /ㅣ/ had higher error rates, with frequent confusion observed between /ㅓ/ and /ㅗ/, and between /ㅜ/ and /ㅡ/. The findings also highlight an asymmetry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While learners often confused /ㅣ/ and /ㅡ/ in production, they showed greater accuracy in perception, suggesting different cognitive pathways in the two processes. The observed vowel confusions aligned with the ongoing Korean vowel shift, and were further influenced by the learners’ L1 phonological systems, such as the unstable articulation of the Uzbek /o'/ and the absence of a direct equivalent for the Korean /ㄹ/.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L1 interference and structural aspects of the Korean vowel system.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단모음 지각 오류 양상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 36권 3호 목차
- 한국어 문어성 조사(調査) 연구의 동향 분석 -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하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부사 습득 연구
- 말하기 유창성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북미 지역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 학술 분야별 한국어 ‘부사+용언’ 연어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어디에 위치하는가? - 학문분류체계 속의 정체성 탐색
- 감사와 사과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NAKS-ACTFL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Korean School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글 모음 음절 쓰기 특성 분석
- 읽기 학습용 모바일 앱 활용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TTMIK Stories 앱 사례 연구
-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지각 오류 양상
- 읽기 중 문법 해독 기술 검사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 탐색
- 동사 ‘입다’와 ‘벗다’의 개념화 양상 및 의미 지도 구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