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s for Grades 5-6 in the 2022 Revised Ba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권수미(Sumi Kwon)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93집, 103~12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새롭게 고시된 2022 개정 기본교육과정에 따라 특수학교 초등 5·6학년 음악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 육 기본교육과정에 관한 문헌,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공식 자료,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문서, 그리고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해 제작된 특수 음악 교과서와 교수· 학습 문헌들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향후 교과용 도서 개발이 나아가 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일상생활 활동 교육’ 과정에 부합하도록, 음악 교과서 내에 범교과 학습 주제 및 타 교과와의 내용 연계를 반영한 음악 활동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단원별 주요 음악 학습 요소의 적용을 통해 반복·강화 학습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발달 수준과 생활 연령 간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감각 기반의 직관적인 음악 교수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넷째, 음악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전자저작물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music textbooks for grades 5 and 6 in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newly announce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using material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official documents fro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extbook compilation resource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developed under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for special education music. Through this revie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xtbooks were drawn. The findings suggest four key directions. First, in alignment with the newly introduced “Daily Life Activity Education” in the 2022 curriculum, music textbooks should include activities that integrate cross-curricular themes and content from other subjects. Second, by applying key musical learning elements in each unit, textbooks should promote repeated and reinforced learning, thereby support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enabling appropriate adjustment of difficulty based on developmental level and chronological age. Third, textbooks should present intuitive, sensory-based music teaching strategies to encourage student engagement. Fourth, efficient development of digital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pursued,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us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2015 개정 특수 초등 5·6학년군 음악 교과용 도서구성과 내용 분석
Ⅳ. 2022 개정 특수 5·6학년 음악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수미(Sumi Kwon). (2025).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연구. 교육연구, (), 103-122

MLA

권수미(Sumi Kwon).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연구." 교육연구, (2025): 103-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