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쓰기 상위인지 내용 요소의 구현 양상: 3학년 1학기, 4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cceptance Phase of Metacognition in Writing Unit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First-Semester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Grades 3 and 4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진희(Jinhee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3집, 7~2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도입된 상위인지 요소 가 초등학교 3학년 1학기와 4학년 1학기 국어 및 국어활동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 는지 분석하고, 그 양상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위인지의 개념 및 구성 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쓰기 단원 총 8개(국어 교과서 및 국어 활동 교과서 각 4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위인지 지식 요소는 장르의 개념은 다루고 있으나 세부 내용 이나 표현상의 특성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구성되지 않았으며, 상위인지 조절 요소 또한 계획-점검-평가 간의 연계성 이 부족하고, 필자의 쓰기 태도 조절 측면은 미흡하게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위인지 지식과 조절 전략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교사의 시범, 설명, 예시 자료 등의 지원과 함께 학생들이 충분히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생들이 글쓰기 과정에서 상위인지 전략을 실제로 적용하 며, 이를 통해 쓰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3학년 1학기와 4학년 1학기 교과서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제한점을 가지며, 향후에는 학년, 영역, 학교급을 확장한 상위인지 반영 양상 분석과 함께 교육 과정·교과서·수업 차원의 실천 방향에 대한 논의는 후속 과제로 남겨 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elements of metacognition, newly introduc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reflected in the first semester Korean language and Korean activity textbooks for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o identify related issues and implications.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metacognition, a total of eight writing units (four from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four from Korean activity textbooks) were examin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metacognitive knowledge—such as the concept of genre—was addressed, there was a lack of systematic treatment of sub-genres and features of content and expression. Furthermore, metacognitive regulation, including the connections among 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was insufficiently integrated, and there was limited attention to the regulation of the writer’s attitude toward writing.
Accordingly,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present metacognitive knowledge and regulatory strategies in a gradual and structured manner, supported by teacher modeling, explanation, and examples, along with ample opportunities for student practice. It also emphasizes that writing instruction should be organized in a way that enhances students’ writing self-efficacy through the application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n the writing process.
This study is limited to textbooks for the first semester only;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integration of metacognitive elements across a wider range of grade levels, content areas, and school stages, and explore practical directions for applying metacognitive instruction in curricula, textbooks, and classroom practic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상위인지의 개념과 요소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연구 제93집 목차
- 교사-AI 협업에 기반한 평가 문항 설계 탐색: 가정 교과 교사의 ChatGPT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쓰기 상위인지 내용 요소의 구현 양상: 3학년 1학기, 4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교사의 개별화 지도 경험 탐색
- 한국 공동체 문화의 특수성을 반영한 시민성 교육 방향 논의: Walzer와 Honneth를 중심으로
- 공변 관점에서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 교과서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그래프 분석
- IBDP <언어와 문학> 구술 평가 체제를 활용한 국어과 구술 평가 설계 연구
- Designing a Primary Music Instructional Model Aligned with UNESCO’s 2023-2025 Educational Vision: Sensory-Based Listening through Soundscape and Digital Literacy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연구
- 대학의 학사 혁신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수도권 대학 학사 업무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 중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진로상담 역량: 진로교육 경험이 있는 현직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기반 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교사의 경험 연구
- 예비 교원의 단소 학습에서 연습 전략, 연습 시간, 그리고 학습 동기가 연주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디지털기기 활용과 학생 참여형 수업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쓰기 상위인지 내용 요소의 구현 양상: 3학년 1학기, 4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어린이 중심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부모-교사 학습공동체 운영 -스마트연구회 1기- 현장실천 사례 중심으로
- 캄보디아 유아 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인식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