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dividualized Guidance for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 Explo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강재은(Jae-Eun Kang) 천은아(Eun-A Cheon) 김현수(Hyeon-Su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3집, 167~1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교사의 개별화 지도 경험을 심층 적으로 탐색해 유아교육의 실제와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방법을 적용하여 유아교사 20명의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의 개별화 지도 경험의 영역은 ‘유아’, ‘가정’, ‘교사’, ‘기관’, ‘제도’의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교사들은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 한 맞춤형 지원을 실천하고 있었고 가정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또한 기관과 제도적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유아 사회·정서발달 지원을 위한 교사의 실제적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향후 유아교육현장에서 사회·정서교육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with providing individualized guidance to support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iming to identify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2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ed accordingly. The analysis revealed five central domains: the child, the family, the teacher, the institution, and the broader system. Teachers described offering developmentally responsive support tailored to individual children, foster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families, and actively pursuing professional growth. They also emphasized the pressing need for concrete institutional and systemic support to sustain and enhance such practices. These findings offer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realities educators face in the field and provide meaningful insights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연구 제93집 목차
- 교사-AI 협업에 기반한 평가 문항 설계 탐색: 가정 교과 교사의 ChatGPT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쓰기 상위인지 내용 요소의 구현 양상: 3학년 1학기, 4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교사의 개별화 지도 경험 탐색
- 한국 공동체 문화의 특수성을 반영한 시민성 교육 방향 논의: Walzer와 Honneth를 중심으로
- 공변 관점에서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 교과서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그래프 분석
- IBDP <언어와 문학> 구술 평가 체제를 활용한 국어과 구술 평가 설계 연구
- Designing a Primary Music Instructional Model Aligned with UNESCO’s 2023-2025 Educational Vision: Sensory-Based Listening through Soundscape and Digital Literacy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연구
- 대학의 학사 혁신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수도권 대학 학사 업무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 중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진로상담 역량: 진로교육 경험이 있는 현직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기반 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교사의 경험 연구
- 예비 교원의 단소 학습에서 연습 전략, 연습 시간, 그리고 학습 동기가 연주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디지털기기 활용과 학생 참여형 수업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 과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 다집단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