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清康雍之际(1720-1723) 山西省特大旱灾及其赈济过程研究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the Extraordinary Drought and Relief Efforts in Shanxi Province during the Kangxi-Yongzheng Transition (1720-1723)
발행기관
한국생태환경사학회
저자명
Shaohang Liu
간행물 정보
『생태환경과 역사』제14호, 125~15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산서성(山西省)은 내륙 고원 산악지대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한재(旱災: 가뭄)가 심각한 지역 중 하나이다. 청조 강희 59년(1720)부터 옹정 즉위년(1723)까지 산서지역을 포함하여 황하(黄河) 중하류 지역에서 심각한 한재가 발생했으며, 이는 지난 500년 동안 산서지역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대규모 한재였다. ‘강건성세(康乾盛世)’ 기간에는 보기 드문 극심한 기상 현상과 직면하면서, 사회시스템의 “취약성”이 여실히 드러났다. 산서지역은 수리 사업이 발달하지 못하여, 농업생산에 필요한 관개 수원(灌漑水源)이 매우 부족하였고, 하맥(夏麥: 여름 보리)과 추화(秋禾: 가을에 생산되는 곡식)의 흉작지 면적이 컸다. 이 시기의 한재는 산서지역 농업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강희연간에 심각한 대기근이 발생했다. 청조가 서북 지역에서 준갈이부(準喝爾部: 준가르부)와의 전쟁이 수년간 지속되는 동안 산서지역은 군수 자금과 식량의 일부를 공급하는 역할을 했으며, 산서 순무인 소극제(蘇克濟)를 비롯한 지방 관료들의 장기간에 걸친 부패가 더해져, 산서지역이 구휼에 사용할 수 있는 상평창(常平倉)에 비축된 식량은 부족하게 되었다. 이에 청 조정에서는 좌도어사(左都御史) 주식(朱軾)을 산서지역으로 파견하여 진제(賑濟: 구휼) 업무를 담당하게 했다. 주식은 다양한 방법으로 식량을 조달하였고 진상(晋商: 산시 상인)들을 동원하여 진제에 참여시켰으며, 진제 업무를 담당하는 관료들의 부패를 바로잡는 등 다방면으로 사회질서를 안정시킴으로써 ‘경세치용(經世致用)’의 실무적인 능력과 모든 사람과 사물을 차별 없이 사랑하는 ‘민포물여(民胞物與)’의 사대부 정신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재해 이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식의 제안에 따라 산서지역에는 우물 관개(水井灌漑), 천수 관개(泉水灌漑)를 포함한 수리 시설이 구축되었고, 점차 산서지역만의 독특한 ‘수리 사회’가 형성되었다. 또한 농업 대출 제도와 곡물 저장 창고 등과 같은 보장성의 제도들도 정비·강화되었고, 산서지역 사회는 재해 이전보다 훨씬 더 완비된 방재 분야의 “회복탄력성”을 갖추게 되었다.

영문 초록

Shanxi Province, located in the inland highland mountainous region of China, is one of the provinces most severely affected by drought disasters. From 1720 to 1723,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llow River (including Shanxi), experienced a catastrophic drought, recognized as one of Shanxi’s most severe droughts in the past 500 years. Confronted with this rare extreme weather event during the “Prosperous Era of Kangxi and Qianlong”, the “vulnerability” of the social system became starkly evident. Due to underdeveloped water conservancy infrastructure, agricultural production in Shanxi suffered from a severe shortage of irrigation water, leading to extensive crop failures of summer wheat and autumn grains. This drought inflicted devastating damage on Shanxi’s economy, culminating in the most severe famine of the Kangxi period. Concurrently, the protracted war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the Dzungar tribe in the northwest required Shanxi to provide military supplies. Compounded by long-term corruption among local officials, exemplified by Governor Su Keji of Shanxi, the reserves in the official granaries available for disaster relief were critically insufficient. The Qing government dispatched Zhu Shi, the Left Censor-in-Chief, to relief Shanxi. Employing multifaceted strategies—including mobilizing Shanxi merchants (Jin merchants) for disaster aid and rectifying bureaucratic malpractice among relief officials—Zhu Shi stabilized social order. His efforts demonstrated both the practical statecraft pragmatism (jingshi zhiyong) and the Confucian ideal of universal compassion (minbao wuyu) characteristic of scholar-officials. In the aftermath, long-term measures were implemented under Zhu Shi’s recommendations. Shanxi established water conservancy projects, such as well irrigation and spring-water irrigation systems, gradually forming a distinctive “water conservancy society”. Additionally, protective institutions like agricultural credit systems and granary reserves were enhanced and strengthened. Consequently, post- disaster Shanxi society developed greater “resilience” against future calamities compared to the pre-drought era. 中国山西省地处内陆高原山区, 是中国干旱灾害最为严重的省份之 一。清康熙五十九年至雍正元年, 包括山西在内的黄河中下游地区发 生严重旱灾, 是近500年来山西典型的特大干旱。面对“康乾盛世” 期间少见的极端天气, 社会系统的“脆弱性”明显地暴露出来: 由于山西水利工程不发达, 农业生产严重缺乏灌溉水源, 夏麦, 秋禾失收的 农田面积很大, 此次旱灾对山西的农业经济造成严重破坏, 形成清康熙时期最严重的大饥荒; 清朝在西北地区与准噶尔部的战争持续多年, 山西负责供应一部分军需钱粮, 加上以山西巡抚苏克济为代表的地方官员长期贪腐, 山西能用来赈济的常平仓储备粮食数量也不多。 清廷派出左都御史朱轼赴山西赈灾, 他运用多种手段筹集粮食, 包括 借助“晋商”的力量投入赈灾, 整顿赈灾官员的吏治, 基本稳定住了社会秩序, 体现出“经世致用”的实学才能和“民胞物与”的士大夫情怀。灾后从长远出发, 在朱轼的建议下, 山西当地建立起了包括水井灌溉, 泉水灌溉在内的水利工程, 逐渐形成了具有特色的“水利社会”, 农业借贷, 粮仓储备等保障性制度也得到了提升与强化, 山西地 方社会相比灾前更具防灾“韧性”。

목차

绪论
1.灾情概况
2.山西地方的实际情况
3. 广泛筹集赈济资源
4.严控赈济钱粮的发放
5. 灾后构建社会韧性
结语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haohang Liu. (2025).清康雍之际(1720-1723) 山西省特大旱灾及其赈济过程研究. 생태환경과 역사, (), 125-151

MLA

Shaohang Liu. "清康雍之际(1720-1723) 山西省特大旱灾及其赈济过程研究." 생태환경과 역사, (2025): 125-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