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lood Control on the Lower Nakdong River Basin and ‘Development-Induced Disaster’ in Early Japanese Colonial Korea: the Case of the Gimhae Irrigation Association
- 발행기관
- 한국생태환경사학회
- 저자명
- 고나은(Naeun Ko)
- 간행물 정보
- 『생태환경과 역사』제14호, 69~124쪽, 전체 5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9,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10년대~1920년대 전반(前半)까지 총독부는 국지적 치수사업을 실시하면서 개인 혹은 수리조합에게 치수·수리의 역할을 전가하였다. 수리 조합에 전가된 치수·수리는 하천 혹은 지역 전체에 대한 고려 없이 국지적으로 이루어졌다.
1910년대 낙동강 하류부 연안에는 일찍부터 미간지에 주목했던 일본인 지주·자본가의 주도 아래 수리조합이 창설되었다. 지역적 특성상 조합 주도의 설치공사는 방수 공사가 중심이 되었다. 이 지역에서 1912년 설립된 김해수리조합 역시 치수공사에 주력하면서 사업의 결과를 낙관하였다. 그러나 준공 직후 발생한 신어천(神魚川) 제방의 붕괴로 수해가 발생하였다. 수해를 계기로 조선인들은 조합에 대항하여 김해 ‘소요’ 사건을 일으켰고, 구역 내 지주들은 조합과 분쟁하였다.
본 연구의 김해수리조합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은 미간지의 ‘개발’을 시도했다는 점, 수리조합사업의 요체는 방수 위주의 설치사업이었다는 점, 일본인의 주도 아래 사업이 시행되었다는 점, 준공 직후 발생한 수해는 ‘개발재난’이었다는 점, 국지적이고 불완전한 설치공사가 지역 사회 내 다양한 계층의 저항과 갈등을 불러왔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일제 초기 치수정책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From the 1910s through the mid-1920s,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dopted a limited and localized approach to flood control, transferring responsibility for hydraulic and irrigation works to private individuals and irrigation associations. These delegated initiatives were undertaken with little regard for broader watershed dynamics or integrated regional planning, resulting in fragmented and often uneven outcomes.
In the lower Nakdong River basin, Japanese landlords and capitalists—long invested in the reclamation of undeveloped alluvial lands—took the lead in forming irrigation associations. Given the region’s hydrological conditions, these associations prioritized flood control as their central objective. The Gimhae Irrigation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12, exemplified this trend, promoting levee construction and other hydraulic interventions with an overly optimistic view of their projected outcomes. However, shortly after the completion of its major works, the collapse of the Sineo Stream levee caused severe flooding, provoking widespread unrest among Korean residents—culminating in the so-called Gimhae “riot”—and sparking disputes among landowners within the association.
This study identifies five interrelated dimensions of the Gimhae case: the colonial imperative to convert alluvial land into arable territory; the centrality of flood control within irrigation association activities; the top-down, Japanese-dominated nature of planning and execution; the emergence of “development-induced disaster” as the environmental and social consequence of inadequately engineered infrastructure framed as progress; and the generation of conflict and resistance across social strata as a result of localized and exclusionary hydraulic interventions. Collectively, these dynamics reveal the structural deficiencies and sociopolitical contradictions embedded within early Japanese colonial water management strategies in Korea.
목차
머리말
1. 한말~일제 초기 일본인 지주·자본가의 침투와 지역사회의 변화
2. 1910년대 국지적 치수공사의 시행
3. 김해수리조합의 설치공사와 ‘개발재난’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ALIA(Late Antique Little Ice Age)’와 동북아 국제 질서의 재편: 6~7세기 고구려-돌궐 관계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고기잡이와 생존·생계 - 공유지 천택(川澤)의 선물
- 일제 초기 낙동강 하류부의 치수공사와 ‘개발재난’ - 김해수리조합을 중심으로
- [번역문] 청조 강희·옹정시기(1720~1723) 산서성 대규모 한재(特大旱灾)와 진제(賑濟)과정 연구
- 清康雍之际(1720-1723) 山西省特大旱灾及其赈济过程研究
- 사라진 마을의 역사 - 오키나와 이리오모테의 전후(戰後) ‘개척’과 개발 구상의 굴절
- [서평] 과학기술의 시선으로 본 유럽 식민주의와 근대사의 비판적 성찰 - 마이클 에이더스, 김동광 옮김, 『기계, 인간의 척도가 되다: 과학, 기술과 서양 우위의 이데올로기』(산처럼, 2011)
- 한국사를 보는 새로운 시각, 생태환경사
- 자연의 풍요와 자연의 악 - 인위선택을 둘러싼 19세기 후반 프랑스 동물 환경적응 협회의 자연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