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History of Vanished Villages: Shifting Courses of “Development” Projects in Postwar Iriomote
- 발행기관
- 한국생태환경사학회
- 저자명
- 정신혁(Sinhyeok Jung)
- 간행물 정보
- 『생태환경과 역사』제14호, 189~21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일본 남서부 오키나와(沖縄)에 위치한 이리오모테(西表)의 마을 형성과 쇠퇴를 전후(戦後) 이주와 지역 개발 구상의 흐름 안에서 검토한다. 아열대 기후를 바탕으로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는 이리오모테는 1972년 일본 최남단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현재는 자연보전을 중시하는 ‘생태의 섬’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글에서는 그에 앞서 제기된 이리오모테의 개발 구상이 지역의 역사·자연 환경과 맞물려 어떻게 모색되고 굴절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이리오모테의 개발 구상과 폐촌(廃村)의 사례를 통해 폐촌을 ‘개발’의 대척점으로 전제하기보다는 그 다양한 결과 가운데 하나로 접근하고자 한다. 근세 이래 강제이주 정책 등으로 인해 섬 외부의 주민들이 이주해 온 이리오모테는 자연재해와 말라리아 등의 제한 요인으로 인한 인구 변동을 겪었고, 근대 들어 광업, 임업 등의 개발이 시도되었으나 아시아-태평양 전쟁 시기 들어 대부분 중단되었다. 이후 미국 통치기 들어 다시금 ‘개척이민’ 이주가 진행된 후 강력한 말라리아 대응책과 함께 산업 개발이 모색되었지만, 충분한 인프라 투자 등이 뒷받침되지 않은 채 본격적 산업 발전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가운데 이리오모테 내의 일부 마을들은 재이주 등을 거치며 사라졌다. 이같은 폐촌 과정을 이 글에서는 전후 개발 구상 및 이주와 연결해 역사화하고, 폐촌이라는 현상을 개발을 위해 전개된 이주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즉 이주자의 ‘입식(入植)’이 파생한 마을의 성쇠의 한 국면으로서 폐촌을 조망함으로써, 개발의 역사와 그 ‘이후’를 어떻게 바라볼 수 있을지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formation and decline of villages on Iriomote Island,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Okinawa Prefecture, in the context of postwar migration and plans for local development. Known for its subtropical climate and diverse wildlife, Iriomote was designated as Japan's southernmost national park in 1972 and is now widely recognized as an “ecological island” where natural conservation is prioritize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ehistory” of nature conservation on the island, emphasizing how the development plans for Iriomote were proposed and trans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island’s history and natural environment. In doing so, it approaches the concept and phenomenon of village abandonment not simply as the antithesis of “development” but as one of its various outcomes. Since the early modern era, Iriomote has experienced population fluctuations due to regional development constraints, such as forced relocation policies and natural disasters like malaria. Despite attempts at development through mining and forestry in the modern era, most such efforts were halted during the Asia-Pacific War period. Under U.S. rule, a large number of “pioneer immigrants” once again migrated to Iriomote, where industrial development was explored alongside strong malaria control measures. However, without sufficient infrastructure investment, industrial development failed to take off, and some villages within Iriomote eventually disappeared through resettlement. This article aims to historicize the process of village abandonment by connecting it to postwar development plans and migration, and highlights that village abandonment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migration for development. By examining village abandonment as a phase in the rise and fall of villages created by migrants’ relocation and settlement, this study seeks to explore how we can reexamine the history of development and its “aftermath.”
목차
머리말
1. 근세-근대 이리오모테 지역 커뮤니티의 형성과 그 조건: 강제이주, 질병, 자연재해
2. 전후 이리오모테의 ‘개발’ 구상과 전개: ‘개척이민’과 산업 개발 논의
3. 산업 개발 모색의 굴절과 사라진 마을: 이나바의 성쇠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ALIA(Late Antique Little Ice Age)’와 동북아 국제 질서의 재편: 6~7세기 고구려-돌궐 관계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고기잡이와 생존·생계 - 공유지 천택(川澤)의 선물
- 일제 초기 낙동강 하류부의 치수공사와 ‘개발재난’ - 김해수리조합을 중심으로
- [번역문] 청조 강희·옹정시기(1720~1723) 산서성 대규모 한재(特大旱灾)와 진제(賑濟)과정 연구
- 清康雍之际(1720-1723) 山西省特大旱灾及其赈济过程研究
- 사라진 마을의 역사 - 오키나와 이리오모테의 전후(戰後) ‘개척’과 개발 구상의 굴절
- [서평] 과학기술의 시선으로 본 유럽 식민주의와 근대사의 비판적 성찰 - 마이클 에이더스, 김동광 옮김, 『기계, 인간의 척도가 되다: 과학, 기술과 서양 우위의 이데올로기』(산처럼, 2011)
- 한국사를 보는 새로운 시각, 생태환경사
- 자연의 풍요와 자연의 악 - 인위선택을 둘러싼 19세기 후반 프랑스 동물 환경적응 협회의 자연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