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ALIA(Late Antique Little Ice Age)’와 동북아 국제 질서의 재편: 6~7세기 고구려-돌궐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LALIA and Northeast Asia’s Geopolitical Transformation: Goguryeo-Göktürk Relations in the 6th-7th Centuries
발행기관
한국생태환경사학회
저자명
서민수(Min-Su Seo)
간행물 정보
『생태환경과 역사』제14호, 5~3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6세기 중엽부터 7세기 중반까지 지속된 전 지구적 한랭기인 ‘고대 후기 소빙기’(Late Antique Little Ice Age, LALIA)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한국 고대사—특히 7세기 전후 고구려-돌궐 관계의 전개—에 시론적으로 적용할 가능성을 검토한다. LALIA의 주요 기온 저하 시기인 536~550년, 574년, 626~627년은 각각 유연의 붕괴, 돌궐의 부상, 고구려-돌궐 간 접촉 및 동북아시아 세력 균형의 재편 등 주요 역사적 사건들과 시기적으로 상응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고구려 또한 LALIA로 인한 기후 충격을 일정 부분 공유하며, 중앙아시아 유목 질서의 재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 고대사의 전개가 단지 내적 요인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외적 환경 변화—특히 기후 변동—의 영향을 함께 받았을 수 있음을 환기하고자 한다. 나아가 기후 요인을 역사 해석에 통합하려는 시론적 접근을 통해, 한국 고대사 연구의 방법론적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the Late Antique Little Ice Age (LALIA), a global cooling event that lasted from the mid-6th to the mid-7th century, and preliminarily explores its applicability to Korean ancient history—particularly the development of Goguryeo-Göktürk relations around the 7th century. Major temperature drops during LALIA, notably around 536-550, 574, and 626-627 CE, tend to coincide with significant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collapse of the Rouran, the rise of the Göktürks, and interactions between Goguryeo and the Turks, includ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power structure in Northeast Asia. This suggests that Goguryeo may have shared, at least in part, the climatic impacts of LALIA and may have been indirectly influenced by the reordering of the Central Asian nomadic order. Through this exploration, the study aims to highlight the possibility that the course of ancient Korean history was shaped not only by internal factors but also by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especially climate variability. Furthermore, by adopting a preliminary approach that incorporates climatic factors into historical interpretation, the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research on ancient Korean history.

목차

서론
1. LALIA 시기 한반도 일대의 기후환경
2. LALIA 기후변동기와 고구려-돌궐 관계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민수(Min-Su Seo). (2025).LALIA(Late Antique Little Ice Age)’와 동북아 국제 질서의 재편: 6~7세기 고구려-돌궐 관계를 중심으로. 생태환경과 역사, (), 5-37

MLA

서민수(Min-Su Seo). "LALIA(Late Antique Little Ice Age)’와 동북아 국제 질서의 재편: 6~7세기 고구려-돌궐 관계를 중심으로." 생태환경과 역사, (2025): 5-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