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연의 풍요와 자연의 악 - 인위선택을 둘러싼 19세기 후반 프랑스 동물 환경적응 협회의 자연관

이용수  0

영문명
Nature’s Abundance and Nature’s Evil: Late Nineteenth-Century Views on Nature and Artificial Selec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Société zoologique d’acclimatation
발행기관
한국생태환경사학회
저자명
김서현(Agatha Seo-Hyun Kim)
간행물 정보
『생태환경과 역사』제14호, 221~25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프랑스의 초기 환경보호 협회 중 하나인 동물 환경적응 협회(Société zoologique d’acclimatation)의 창립부터 1880년까지의 “황금기”를 자연관 중심의 개념사적 시각에서 조명하며, 이를 통해 협회의 활동을 환경운동사나 식민사 관점에서 해석한 기존 연구를 보완한다. 협회가 초기에 고수했던, 자연은 자애로우며 인간에게 무한한 자원을 내어준다는 자연관은 20세기 초에야 생태중심주의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는 기존의 해석과 달리, 이 논문은 미시적 사료 연구를 바탕으로 협회의 인간중심주의적 자연관과 생태중심주의적인 자연관은 과학 지식의 흐름의 영향을 받으면서 19세기 후반부터 이미 다양한 형태로 공존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협회 초기에는 선과 풍요의 자연관이 인간은 자연의 모든 것을 정복할 권리가 있다는 인간중심주의적인 태도와 결합했으나, 찰스 다윈의 진화론과 자연선택 이론이 확산하면서 1860년대에는 초도덕적이며 경제학적인 원리로 운영되는 자연관이 우세해졌다. 인간은 이제 다른 수많은 생물체와 마찬가지로 자연을 구성하는 참여자 중 하나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생태중심주의적 관점도, 동물의 환경적응, 이종교배, 근친교배와 같은 인간의 행위를 자연적 활동의 연장선으로서 정당화하는 인간중심주의적인 태도를 동반했다. 동물의 인위적인 근친교배와 인간 사회에서 행해지는 친족 결혼의 유전적 영향에 관심이 늘면서, 1870년대에는 자연은 생래적으로 악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자연관이 설득력을 얻기 시작했다. 이런 이해는 오히려 자연의 악을 제어하기 위해 인간의 개입이 필수라는 인간중심주의적인 태도를 장려하고 그것과 결합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연은 선하고 풍요롭다는 협회 초기의 자연관이 계속 자리를 지키고 있었으나, 인간은 자연의 혜택을 마음껏 이용할 권리를 가진다는 인간중심주의적인 태도와는 점점 분리되는 모습을 보였다. 협회 초창기 사료에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두 개념적 축—인간중심주의와 생태중심주의, 낙관적 자연주의와 비관적 자연주의—의 상호작용을 탐구함으로써 이 논문은 19 세기 말 프랑스의 자연관이 지닌 복합성을 조명하고, 더 나아가 근대 서양 자연관의 역사를 인간중심주의에서 생태중심주의로의 단선적 전환으로 해석해 온 기존 내러티브를 검토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one of the first environmental societies in France, Société zoologique d’acclimatation, in its early phase from 1854 to 1880. During this “golden age,” the Société upheld a view of nature as a benevolent and limitless source of benefits for human use. Complementing existing studies that argue the Société’s attitude toward nature shifted onl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an ecocentric direction, I contend that anthropocentric and ecocentric views of nature were already coexisting in diverse form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often shaped by developments in scientific knowledge. A close analysis of the Société during this period reveals that, at first, the view of nature as unconditionally good and abundant fused with an anthropocentric attitude that saw humans as entitled to use all of nature’s resources. This initial combination began to shift in the 1860s, as Charles Darwin’s interpretation of nature as an amoral world driven by economic principles gained popularity. Humans were now seen as just one of many participants in nature, but this ecocentric view still left room for an anthropocentric attitude— one that justified human actions such as animal acclimatization, crossbreeding, and inbreeding as extensions of nature’s own operations. Then, as interest in the genetic effects of animal inbreeding and consanguineous marriage in human society intensified in the 1870s, a view of nature as inherently capable of producing evils gained traction. This view served to justify human intervention to control the evils of nature, once again combining with an anthropocentric attitude. The earlier view of nature as good and abundant still held sway, but it was increasingly decoupled from an anthropocentric attitude. The varying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most explicit conceptual axes— anthropocentrism and ecocentrism, and nature’s benevolence and nature’s evil—as revealed in the Société’s documents, point to the complexity of late nineteenth-century conceptions of nature in France. By approaching the study of the Société from a conceptual-historical perspective on views of nature, this article re-examines the prevailing narrative that interprets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conceptions of nature as a linear shift from anthropocentrism to ecocentrism, and complements existing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Société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istory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or colonial history.

목차

머리말
1. 프랑스 동물 환경적응 협회의 시작
2. “자연의 경제” 개념: 자연과 인간 세계의 통합
3. 협회의 자연관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서현(Agatha Seo-Hyun Kim). (2025).자연의 풍요와 자연의 악 - 인위선택을 둘러싼 19세기 후반 프랑스 동물 환경적응 협회의 자연관. 생태환경과 역사, (), 221-253

MLA

김서현(Agatha Seo-Hyun Kim). "자연의 풍요와 자연의 악 - 인위선택을 둘러싼 19세기 후반 프랑스 동물 환경적응 협회의 자연관." 생태환경과 역사, (2025): 221-2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