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Adolescents' Child Abuse Experience on Runaway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효민(Hyo-M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3호, 185~20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아동학대 피해자와 가출청소년을 별도의 사회적 문제로서 접근하는 것이 아닌, 가정에 서의 학대피해 아동이 가출청소년이 되는 연속 선상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자료는 2020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청소년의 주거권 실태와 보장방안 연구: 사회배제 관점을 중심으로”의 2차 자료에서 총5,914개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아동학대 경험에 따른 가출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IBM SPSS 28.0ver.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아동학대 경험과 청소년의 가출경험간 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학대 경험이 가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직접학대, 정서적 학대뿐만 아니라 방임, 가정에서 폭력에 노출되는신체적 간접학대 역시 가출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아동학대의 부정적 영향을 다시금 실증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직접적인 학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방임과 신체적 간접학대 등의 부정적 영향으로 가출 행동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방임과 가정폭 력에 노출되는 간접학대도 아동학대의 한 부분임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 고, 동시에 청소년의 가출이 단순 비행, 일탈로의 관점에서 접근할 사회적 문제가 아니라 피해아동이 스스로를 보호하고자 하는 행동일 수 있음을 인지하고, “가정 밖 청소년”이라는 제도적, 법적 개념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stead of approaching child abuse victims and runaway adolescents as separate social problems,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m in a series of ways in which children affected by abuse at home become runaway adolescents. This research data used a total of 5,914 data for the final analysis in the second data of “Study on Youth Housing Rights and Security Measures: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in 202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IBM SPSS 28.0ver. Fi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youth runaway experience. Studies have shown that child abuse experi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unaway experience, and physical and indirect abuse exposed to neglect and violence at home as well as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unaway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gative impact of child abuse could be confirmed again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runaway behavior was confirmed due to negative effects such as neglect and physical indirect abuse.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awareness that indirect abuse exposed to neglect and domestic violence is also a part of child abuse, an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institutional and legal concept of “out-of-home youth” by recognizing that youth runaway may not be a social probl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선 경찰관의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미치는 대민접촉의 영향: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스토킹범죄 예방을 위한 정책적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HP 분석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기회이론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아동학대 경험이 가출에 미치는 영향
- 경찰공무원의 근골격계질환 공상추정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외국인 밀집지역에서의 외국인 갈등이 범죄피해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무질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스토킹처벌법 실효성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스토킹 통념과 법의식의 영향
-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민간경비 연구
- 회복적 사법의 효과성 실증
- 경찰 분야의 인공지능 관련 해외 연구 동향 분석
- 부모방임이 온라인 성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집회시위에 있어서 경찰 드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른 행정법상 경찰책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