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ublic’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 Influence of Stalking Myths and Legal Consciousnes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승희(Seung-Hee Lee) 이창배(Chang-Ba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3호, 167~18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토킹 가해자 처벌 및 피해자 보호를 위해 마련된 스토킹처벌법이 2021년 10월 21일 본격 시행 되었으나 법 시행 이후에도 스토킹 범죄는 끊임없이 이어져오고 있다. 스토킹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가해자를 향한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여론이 들끓고 있지만 스토킹처벌법 시행여부는 인지조차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스토킹처벌법과 관련한 연구에는 범죄의 구성요건이나 피해자 보호제도에 관한 문헌연구가 대다수를 이루고, 스토킹처벌법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단순히 법의 제정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 법을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법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스토킹 범죄 처벌을 위해 마련된법 제정의 억제 효과성을 알아보고, 스토킹 통념 및 법의식 수준이 법 실효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스토킹 통념과 법의식 수준에 따라 스토킹처벌법의 실효성 인식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결론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후속 연구결과들이 축적되어야 하는 점은 한계로 지적되었다. 향후 스토킹처벌법을 개정·교육함에 있어 스토킹 통념과 법의식을 고려 하여 법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alking Punishment Act, designed to punish stalking perpetrators and protect victims, took effect on October 21, 2021, but stalking crimes have continued since the law took effect. Fear of stalking is growing and public opinion is raging demanding strong punishment for the perpetrator, but the Stalking Punishment Act is not even properly recognized. In research related to the Stalking Punishment Act, the majority of literature studies o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crime and the victim protection system are conducted, and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he Stalking Punishment Act is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time for continuous research to look at the law from various aspect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not just the enactment of the law.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curbing criminal policies prepared for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an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stalking myths and legal consciousness on the perception of legal effectiven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talking Punishment Act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talking myths and legal consciousness, and it wa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that various follow-up research data should be accumulated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In revising and educating the Stalking Punishment Act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o devise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in consideration of stalking myths and legal conscious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선 경찰관의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미치는 대민접촉의 영향: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스토킹범죄 예방을 위한 정책적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HP 분석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기회이론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아동학대 경험이 가출에 미치는 영향
- 경찰공무원의 근골격계질환 공상추정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외국인 밀집지역에서의 외국인 갈등이 범죄피해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무질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스토킹처벌법 실효성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스토킹 통념과 법의식의 영향
-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민간경비 연구
- 회복적 사법의 효과성 실증
- 경찰 분야의 인공지능 관련 해외 연구 동향 분석
- 부모방임이 온라인 성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집회시위에 있어서 경찰 드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른 행정법상 경찰책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