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wareness of Abuse on Its Responses among Community Older Adults in Social Welfare Agencie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홍송이(Song-Iee Hong) 심혜인(Hye-In S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8권 제3호, 259~2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노인학대는 지난 10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COVID 19 이후 펜데믹 상황에서 노인학대가 전년 대비 19.4% 증가하였기에, 이는 초고령화 사회를 앞둔 현 사회의 심각한 문제라 볼 수 있다. 노인 학대는 신고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공적자원을 중심으로 신고의무자와 관련된 제도를 강화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인권교육을 법제화하여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 정책 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상대적으로 학대피해대상자인 노인에 대한 학대와 관련된 인식을 직 접적으로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 아동학대의 경우에는 신고의무자뿐만 아니라, 아동 및 부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련 대상자를 중심으로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현 노인학대 신고제의 제한 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노인들에 의한 노인학대 인식이 학대대응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 로 검증하였다. 2018년 중앙노인보호기관에서 실시한 「노인인권실태조사」2차 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일상활동이 가능한 노인복지관과 노인일자리지원기관 등의 노인여가복지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총 3,189명이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5.0ver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노인학 대에 대한 인식수준의 신뢰도분석과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노인학대 인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고 등의 다양한 대응태도를 보인 집단의 노인학대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무대응 집단의 노인학대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노인학대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했음에도 무대 응한 집단과 비교하여, 노인학대인식이 높을수록 신고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대응을 적극적으로 행 동하는 태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노인학대 지식수준도 노인학대 직·간접 경험에서 무대응 집단보다 신고 또는 다른 대응행동을 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태도를 취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 노인학대 신고제도 이상으로 노인 당사자들이 직접적으로 학대를 인식하 고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Elder abuse has consistently increased over the past 10 years. Since the COVID-19, elder abuse has increased 19.4% year-on-year, which can be seen as a serious problem in Korea. As a main strategy of adult protection service, the compulsory reporting system by legal reporters of elder abuse like all service providers in elder care-related areas has been strengthened. Recently, another effort has been made to improve service providers’ awareness of elder abuse by legislating their compulsory education on older adults’ human rights. However, such efforts have ignored older adults, themselves who are victims of abuse.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do not have any chance to be educated in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Therefore, we sought to examine the effect of older adults’ awarenessn of elder abuse on their response to such abuse. The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Human Rights conducted by the Central Elderly Protection Agency(EPS) in 2018 were utilized. A total of 3,189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ho are using community welfare agencies such as senior citizen welfare centers and senior citizens' work support institutions were analysed.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awareness on elder abuse were more likely to act in various forms of responses to elder abuse. In addition, the level of knowledge of elder abus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elder abuse, showing an active response to reporting to EPS/police or other forms of response to elder abuse rather than non-response to elder abu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e advanced interventions need to be developed for strengthening older adults’ capacity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abuse and human rights in community service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시대 범죄 관련 이슈와 시사점
- 스토킹 범죄의 유형과 효과적인 대응방안
- 민간경비원의 공유리더십이 지식공유 및 주민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홈트레이닝의 지각된 가치가 운동몰입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찰행정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변용수준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 Messenger Phishing Modus Operandi in South Korea
- 범죄피해 두려움 영향요인 분석: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 노인의 학대에 대한 인식이 학대대응태도에 미치는 영향
- ISIS의 미디어 전략과 테러 프로파간다: DABIQ와 RUMIYAH를 중심으로
- 전략과 정보에 대한 논의: 국가안보에서의 전략과 정보의 의미와 관계
- 테러수단으로서 가상자산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법적·제도적 개선방향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낙인감, 친구애착, SNS 가해경험을 중심으로
- 뺑소니 사고조사를 위한 딥러닝 기반의 국산자동차 차종 분류
- 국내 산업보안범죄의 유형별 실태 및 시사점: 판결문 분석을 중심으로
- 「도로교통법」의‘도로’등 개념에 대한 소고: 판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