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죄피해 두려움 영향요인 분석: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Analysis of Crime-damaged Fear Influences: It's All about Trust in Law Enforcement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문인수(In-Soo Moon)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18권 제3호, 17~2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범죄피해두려움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에 대한 연구는 경찰기관에 집중되어 있는바, 그 이외의 기관의 국민 신뢰도가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에 대해 영향력이 있는지를 파악해 봄으로써 이들의 역할에 대한 방향을 제고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범죄피해 두려움에 형사사법기관의 신뢰수준이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연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 원에서 2015년에 조사한 ‘양형기준제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차 데이터 1,000개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5.0ver.을 활용하여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 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검찰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법원신뢰 수준이 낮을수록 범죄피해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여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범죄피해 두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각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국민의 신뢰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이로써 나타날 수 있는 범죄피해 두려움에 대한 감소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ear of crime, focusing on trust in law enforcement agencies. Research on the credibility of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is focused on police agencies, and we want to increase the direction of their role by identifying whether public confidence in other institutions is influential in fear of criminal harm.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rough empirical studies whether the level of confidence in criminal justice agencies affects the fear of criminal damage. To this end, 1,000 secondary data of 'National Perception Survey on Sentencing Standard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y the Korea Criminal Policy Institute in 2015. Using SPSS 25.0ver.,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earch and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nfidence in the prosecution and the lower the level of confidence in the court, the higher the fear of criminal damage. In terms of demosocial characteristics, the lower the age, the more women feel fear of crime. Based on these findings, we would like to seek ways to raise the level of public confidence in each criminal justice institution and reduce the fear of possible criminal dama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인수(In-Soo Moon). (2021).범죄피해 두려움 영향요인 분석: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8 (3), 17-29

MLA

문인수(In-Soo Moon). "범죄피해 두려움 영향요인 분석: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8.3(2021): 17-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