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ork Violence of Abuse of Superior Status Type: Depth Interview of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Cas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지온(Ji-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3호, 107~1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6년 고 김홍영 검사 자살 사건, 2019년 경찰청에서 잇따라 발생한 2건의 자살사건은 모두 직장폭력이 그 주요한 원인으로 판명되었거나 의심되고 있다. 직장폭력이 개인과 우리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은 치명적이며 현재까지 양적인 연구 외에 심층적인 질적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직장폭력 피해자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직장폭력의 위험성을 구체화하여, 그것이 얼마나개인과 가족을 파괴할 수 있는 행동인지 경각심을 일깨우고 향후 제2·제3의 피해를 예방하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되었다. 직장폭력은 ‘직장 내외에서 직장 구성원을 상대로 한물리적인 공격 또는 언어적인 공격으로 인해 피해자에게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로 정의된다. 직장폭력은 폭력의 유형, 가해주체에 따라 여러 분류가 가능한데 본 연구에서는 경찰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사의 ‘우월적 지위 남용 형 직장폭력으로 제한하여 심층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년 경찰청에서 수개월간 직장폭력을 경험한 ○○ 경○을 대상으로 1회 약1시간에 걸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반구조화된 면접지를 구성하였고 그 체계는 도입, 구체화, 마무리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억회상, 피해사실, 가해자 성향, 본인과 가족에게 미친 영향, 대응, 극복, 정리와 제언 순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피해자가 주로 당한 직장폭력 유형은 인격모독 또는 인신공격성 언어폭력과 감정적으로 상처를 주는 행위, 위협적 행동으로 확인되었다. 게다가 부당한 대우와 차별, 근무시간 외 집요한 업무지시 등의 새로운 유형도 발견되었다. 직장폭력의 피해로 연구참여자는 탈모, 폭음, 담배, 강박관념, 번아웃 등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피해를 겪었고, 부인의 고통, 아버지의 걱정 등 가족들에게까지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사의 우월적 지위 남용형 직장폭력은 이의제기를 하기에는 피해자에게 직장생활에 대한 리스크(risk)가 너무 크고, 무력감, 패배감으로 연결되어 결국 신고조차 포기하게 되므로 앞으로 다양하고 심층적인 사례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사회 구조적인 예방대책과 피해구제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uicide of prosecutor Kim Hong-Young in 2016 and two suicides at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in 2019 were all confirmed or suspected as the main causes of work violence While the effects of workplace violence on individuals and our society are fatal, it is true that there is a lack of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angers of work violenc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victims of work violence, to raise awareness about how much workplace violence can destroy individuals and families, and to contribute a little to preventing the 2nd and the 3rd damages in the future.
Work violence is defined as ‘an act involving physical, mental or property damage to a victim by making physical or verbal attacks on a member of the work both inside and outside the workplace.’ There are various types of work viol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violence and the subject. In this study, an in-depth case study focused on work violence by someone in the superior position is conducted. The causes of workplace violence can be categorized in organizational culture, personal causes, and situational factors, and the effects of work violence are harmful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the entire organiz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for an hour with ○○, who experienced work violence for several months at the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in 20○○. I filled out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which consisted of introduction, specification, and finishing.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ults, the types of work violence that the victim mainly suffered were confirmed as defamation of character, personal assault, verbal abuse, emotional injury, and threatening behavior.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forms of work violence was evolving is confirmed. It has been discovered that new types of work violence such as unfair treatment, discrimination, and persistent work orders outside of working hours.
Participants suffered from serious physical and mental damage such as hair loss, heavy drinking, smoking, obsession, and burnout due to work violence. It was also confirmed that family of the victim including the wife and farther experienced anxiety and disappointment. The victim ended up giving up reporting of work violence because of risks and helplessness. Therefore, we should continue to conduct various and in-depth case studies on workplace violence to prepare social structural preventive measur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직장폭력 개관
Ⅳ. 연구방법론
Ⅴ. 분석결과
Ⅵ. 맺으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순찰 및 112 신고 대응 효율화 모델: 대구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의료기관 범죄예방을 위한 민간경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정책 효과증진을 위한 현상학적 연구: 개정된 학교폭력 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 성향점수매칭분석을 활용한 경찰신뢰와 법집행 순응의사 연구
- 우월적 지위 남용 형 직장폭력 사례연구: 경찰청 사례 심층면접
-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코로나 19 사태를 통해 본 대한민국 위기관리의 문제점과 교훈
- 지역주민 자율방범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일중독 형태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 경호경비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젠더기반폭력의 피해자 맥락성에 관한 담론
- 소방 특별사법경찰 전문성 강화방안
- 산업스파이 활동과 탐정의 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