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ctual Status of Autonomous Crime Prevention Activities by Local Resident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강필영(Pil-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3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범죄예방을 위해서 운영되고 있는 자율방범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자율방범활동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실태파악을 위해서 종로구에서 활동하는 259명의 자율방범대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표적집단면접(FGI)을 통해서 설문조사 결과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자율방범대원들은 범죄예방 효과, 주민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 등 지역안전에 매우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인식한다. 1주 2회 이상 활동하는 자율방범대원이 75%로서 적극적으로순찰활동을 하고, 자율방범대원간 유대는 물론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 지역주민 간의 유대감도 강한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신규충원이 부족한 상태로 노령화되어 50대 이상이 90%이며, 자생력이 부족하여 지자체의재정적인 지원에 의존적이다. 아울러, 시대적 흐름에 따라 활동양상이 변화되었는데 방범활동 시간이 보다 과거에 비해서 이른 시간에 이루어지며, 도보순찰 위주의 활동이 확대되고, 조별 인원도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율방범대에 대한 지원은 재정적 지원을 가장 크게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자율방범대의 목표와 활동내용에 대해 명확하고 규정하고,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활동양태의 발전적 적응, 활동성과에 대한 지역사회와의 공유를 통해서 지역주민의 지지와 지원을 확보하는 자율적이고 자생적인 조직으로 변화의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utonomous crime prevention activities operated by local communities, and to acquire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se activit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59 voluntary neighborhood watchmen working in Jongno-gu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the target group interview (FGI). The result shows that respondents believe their activities contribute to local safety. They are actively engaged in patrol activities. 75% of the respondents patrol at least twice a week, and they have strong ties not only among watchmen groups but also with local communities. However, the population of watchmen is aging, 90 percent of those in their 50s, due to lack of replenishment of new members. They tend to depend on the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due to lack of self-sufficiency, and their activities have been changed responding to the time changes. We could see that the time of crime prevention activities become earlier than in the past, focusing on walking patrol, and expanding the number of members of one patrol group. The study pointed out that, in the future, they need to seek the direction of change to become autonomous and self-sustaining ensuring the support and endorsement of local residents through sharing their performance with local communities and adopting creative activities reflecting the situation chan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자율방범활동 운영실태 분석
Ⅳ.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순찰 및 112 신고 대응 효율화 모델: 대구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의료기관 범죄예방을 위한 민간경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정책 효과증진을 위한 현상학적 연구: 개정된 학교폭력 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 성향점수매칭분석을 활용한 경찰신뢰와 법집행 순응의사 연구
- 우월적 지위 남용 형 직장폭력 사례연구: 경찰청 사례 심층면접
-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코로나 19 사태를 통해 본 대한민국 위기관리의 문제점과 교훈
- 지역주민 자율방범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일중독 형태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 경호경비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젠더기반폭력의 피해자 맥락성에 관한 담론
- 소방 특별사법경찰 전문성 강화방안
- 산업스파이 활동과 탐정의 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