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covery Elasti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ecurity Guard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도영(Do-Young Kim) 김상진(Sang-J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3호, 41~6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호경비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하였다. 이는 회복탄력성이라는 변수를 통하여 현장의 경호경비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의경감 정도를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지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경찰청에 등록된 서울·경기·인천 소재 민간경비업체에서 경비원으로 종사하고 있는 경호경비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480부를 회수하였다. 그리고 이 중에서 극단치가 있는 58부를 제외하여 422부를 최종 데이터로 선정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단순 상관관계분석, 위계적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첫째, 경호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업무관계 스트레스는 긍정성에,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사회성과 통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고객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혁신행동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업무관계 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심리적 회복탄력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심리적 회복탄력성은 조직유효성의 혁신행동,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결과, 긍정성은 업무관계 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으며, 사회성과 통제성은 대인관계 스트레스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tress of the security guard workers on psychological recovery elastic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job stress reduction of security guards in the field through the variable of elasticity of recovery, and to suggest what mediating role it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480 copies of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500 security guards employed as security guards by private security compan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 addition, 422 parts were selected as the final data, excluding 58 parts with extreme values.
The collected data was deriv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4.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urity guard'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work-related stress significantly affects positiveness and inter-personal stress significantly affects sociality and controllabili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rivate security guards, customer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job satisfaction, interpersonal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innovation behavior, and work relationship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ly. Craz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ecovery Elastic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rivate Security Guard, Psychological Recovery Elastic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artly on job satisfaction.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recovery elasti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rivate security guards, positiveness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lationship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on behavior. In addition, social performance and controllability were found to play a full mediating role in interpersonal str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순찰 및 112 신고 대응 효율화 모델: 대구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의료기관 범죄예방을 위한 민간경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정책 효과증진을 위한 현상학적 연구: 개정된 학교폭력 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 성향점수매칭분석을 활용한 경찰신뢰와 법집행 순응의사 연구
- 우월적 지위 남용 형 직장폭력 사례연구: 경찰청 사례 심층면접
-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코로나 19 사태를 통해 본 대한민국 위기관리의 문제점과 교훈
- 지역주민 자율방범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일중독 형태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 경호경비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젠더기반폭력의 피해자 맥락성에 관한 담론
- 소방 특별사법경찰 전문성 강화방안
- 산업스파이 활동과 탐정의 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