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순찰 및 112 신고 대응 효율화 모델: 대구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Big Data Analyses Models for Efficient Patrol and 112 Crime Call Response: Focusing o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김중곤(Joonggon Kim) 이태현(Tae-Hyu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3호, 91~10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치안은 경찰 정책의 발전 및 지속성을 담보한다. 하지만, 범죄예방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결과가 실제 정책에 접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 연구는 112신고에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빅데이터 활용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합리적 선택이론, 일상생활이론 등 범죄학적 이론과 순찰에 관한 선행연구들 및 우리나라의 치안실정에 비추어 볼때, 차량을 이용한 핫스팟 순찰이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기반으로 크게 두가지의 분석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SK텔레콤 유동인구 및 112신고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112신고 예측모형을 추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법정동별 112신고발생 위험도를 예측한다. 둘째, 위험예상법정동별로 112신고 군집화분석을 실시하여 그 중심점을 잇는 신규순찰노선을 제안한다. 연구결과는다음과 같다. 먼저 2019.05.31.부터 2020.04.30.까지의 대구지방경찰청 112신고 빅데이터 및 SK텔레콤유동인구 데이터 등을 분석하여 112신고 예측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법정동의 시간대별 위험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법정동 중 5개 법정동을 임의로 선정하여K-means 군집화분석을 실시한 결과, 법정동 내 특정지점에 112신고가 군집하여 발생한다는 사실을확인하였으며, 그 중심점을 잇는 신규순찰노선을 추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 분석 사례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오프로스 등 기존 경찰시스템에 접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Smart policing based on data analysis secures th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of policing strategies. Nevertheless, any practical case that effectively used the result of big data analysis for crime prevention is hard to f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big data analysis models to cope more effectively with 112 crime calls. Based on various criminological theories (i.e. rational choice theory, routine activities theory, and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prior studies, and the Korean policing environment, we posit that hot-spot car patrol is the most suitable patrol method. With this assumption in mind, we established two broad analytic strategies. First, we predict the risk of 112-call occurrences of each district (do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floating population data collected by a Korean telecommunication company, SK telecom, and 112 crime calls data collected by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Second, we conduct clustering analyses for several districts and suggest new patrol route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we produced a 112-call prediction model using big data from 2019.05.31. to 2020.04.30. Second, the risk level of each district was estimated using this prediction model. Third, we conducted a series of clustering analyses of 112 crime calls for five high-risk districts, and suggested new patrol routes that connect the central point of each 112-call occurrence cluster. These analytic methods need to be connected with pre-existing crime prevention systems such as Geopros for sustainable usa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중곤(Joonggon Kim),이태현(Tae-Hyun Lee). (2020).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순찰 및 112 신고 대응 효율화 모델: 대구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7 (3), 91-106

MLA

김중곤(Joonggon Kim),이태현(Tae-Hyun Lee).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순찰 및 112 신고 대응 효율화 모델: 대구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7.3(2020): 91-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