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α-MSH에 의해 유도된 B16F10 세포에서 Xanthium strumarium L.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이용수  9

영문명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Xanthium strumarium L. on melanogenesis in B16F10 cells induced by α-MSH
발행기관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저자명
김보애(Bo Ae Kim)
간행물 정보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2권 제3호, 442~451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화학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천연 유래 미백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천연 유래 미백성분은 ‘자연 유래’라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호감을 주어 경쟁력을 높인다. 본 연구는 Xanthium strumarium seed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α-MSH(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로 유도한B16F10에서 티로시나아제와 멜라닌 형성을 억제했다. 또한 핵심조절인자인 티로시나제,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tyrosinase related protein-2)에 관여함으로서 최종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X. strumarium seed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interest in natural whitening agents has been increasing. Natural whitening ingredients increase competitiveness by giving consumers a favorable message of ‘natural origin’. This study evaluated the whitening efficacy of Xanthium strumarium seed ethanol extract. As a result, tyrosinase and melanin formation were inhibited in B16F10 cells induced by α-MSH (α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In addition, by involving key regulatory factors such as tyrosinase,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and TRP-2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he final melanin formation was prevented.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X. strumarium seed ethanol extract as a whitening functional ingredient.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애(Bo Ae Kim). (2025).α-MSH에 의해 유도된 B16F10 세포에서 Xanthium strumarium L.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42 (3), 442-451

MLA

김보애(Bo Ae Kim). "α-MSH에 의해 유도된 B16F10 세포에서 Xanthium strumarium L.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42.3(2025): 442-4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